IT업체들이 소비자금융시스템 시장에 잇따라 진출하고 있다. 이들 업체는 소비자금융업에 진출하려는 은행, 캐피탈, 상호저축은행 등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영업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한편 정부가 여러 각도에서 소비자금융업 규제 방안을 검토하고 있고 외국 대금업체들은 대부분 본사 시스템을 활용할 예정이어서 소비자금융시스템의 실제 수요가 발생할 때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27일 금융 및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재 소비자금융시스템 사업을 추진하는 곳은 효성데이타시스템, 한국후지쯔, 웹케시, 기은전산, H&C 등이다.
효성데이타시스템은 협력관계를 맺고 있는 히다찌와 공동으로 시스템 개발 및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한국후지쯔는 얼마전 소비자금융시스템 전담반까지 구성하고 할부금융회사, 상호저축은행 등을 중심으로 영업을 하고 있다.
웹케시는 대금업체 뿐만 아니라 제1금융권을 대상으로도 활발한 영업활동을 벌이고 있다.
이미 소비자금융업 진출을 준비하고 있는 은행 2곳에는 제안서를 제출했다.
이밖에 기은전산, H&C 역시 제 2금융권을 대상으로 소비자금융시스템에 대한 마케팅을 본격화하고 있다.
소비자금융업 시스템은 채널시스템과 기반시스템으로 구성된다. 기반시스템은 고객의 정보를 관리하는 고객정보관리시스템, 상담/접수, 승인신청관리 등을 처리하는 품의심사시스템, 신규, 상환, 기간연장, 금리변경, 기한이익상실 등을 처리하는 대출시스템, 장단기연체관리, 기일관리 및 각종 보고서 등을 처리하는 사후관리시스템, 일일원장관리, 마감관리, 결산관리, 전표관리, 재무제표관리 등을 처리하는 회계관리시스템 등으로 구성된다.
인터넷뱅킹, 론 시스템, CD/ATM 연계 등 채널시스템은 점포망 열세를 극복할 수 있는 중요 도구로써 관련업체들은 무인계약기 구축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
개별 프로젝트 규모가 각각 약 5~20억원 인 것을 감안할 때 전체 시장은 약 100~200억원 규모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국내 1,2금융권 기관들이 대부분 소비자금융업에 진출할 것을 희망하고 있지만 시장 전망이 그리 밝지만은 않다.
일부 금융기관들이 제휴 대금업체들의 시스템을 그대로 활용할 계획인가 하면 정부가 제1금융권의 소비자금융업 진출을 곱지 않게 바라보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일찌감치 소비자금융업 진출을 선언한 신한은행은 제휴사인 세틀렘의 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하기로 이미 결정한 상태다.
한 IT업체 관계자는 “외국 대금업체의 시스템을 그대로 활용할 경우 국내 금융정보가 해외로 유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이같은 상황을 방지하고 서비스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국내에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미선 기자 u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