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금융위기로 국제통화기금(IMF)의 지원을 받았던 당시 상황을 기준으로 한국 등 아시아 3국의 경제체제를 비교한 결과, 커다란 변화가 포착됐다면서 정치권의 힘을 빌어 기업을 경영하던 구태가 급속히 사라진 점이 주목된다고 전했다.
신문은 한국의 경우 민관이 합동해 기업 투명성 제고에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다면서 2년전 실시된 총선에서 500여 주주단체들이 인터넷을 통해 반부패 운동을 전개해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다고 밝혔다.
이밖에 한국 정부는 상장기업의 경우 이사회의 4분의 1을 사외이사로, 수익이 16억달러 이상이 넘는 대기업은 절반을 사외이사로 채용토록 강력한 기업투명성 제고조치를 단행했다고 신문은 말했다.
신문은 이밖에 태국도 빚더미에 앉은 대기업 시암시티 시멘트의 지분 25%를 스위스에 매각하고 인도네시아도 전통적인 가족 중심 기업경영 방식에서 변화를 추구하는 등 정경유착 탈피에 노력해왔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은행권에 외국자본의 참여로 소매금융이 늘어나 수출 감소현상을 내수로 메워 경기활성화에 도움이 됐으나 이자율 상승 등으로 내수가 위축될 경우 다시 위기를 맞을 수 있다며 펀더멘털의 지속적인 개혁을 신문은 촉구했다.
김미선 기자 u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