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초 일찍 소액대출영업을 시작한 푸른상호저축은행은 지난 해 12월 200만원 미만의 신규소액대출자수가 9000명이었으나 올해 3월에는 2000명에 그쳤다. 소액대출 계수도 1650억에서 더 이상 증가하지 못하고 있다.
작년말에 소액대출시장에 뛰어들어 공격적인 영업을 펼치고 있는 좋은상호저축은행도 올해들어 소액대출의 계수는 늘고 있으나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다.
좋은상호저축은행은 올해 1월 1040억원, 2월 1270억원, 3월 142 0억원, 4월 1530억원으로 1~2월, 2~3월, 3~4월사이의 증가률이 각각 230억원, 150억원, 110억원으로 낮아지고 있다. 현대스위스상호저축은행 소액대출계수가 1, 2, 3, 4월 계속 2840억선을 유지하고 있다.
푸른상호저축은행 관계자는 “정부의 모집인 규제 강화로 인해 소액대출 고객들이 사채시장으로 몰려 침체됐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일각에서는 지난 2월부터 서울지방경찰청과 금감원의 위탁업체에 대한 공동 조사가 상호저축은행의 대출영업을 크게 위축시킨 반면 대금업체들의 영업은 호전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그러나 일부 상호저축은행은 “소액대출이 수익이 좋다고 한쪽에만 치우친 여신업무를 하는 것은 자산유동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상호저축은행업계는 특히 7월부터 은행연합회를 통해 1000만원 미만에 대한 신용정보 공개로 다중채무자가 드러나면 소액대출은 더욱 영업이 위축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상호저축은행들의 소액대출 영업이 감소함에 따라 위탁업체들도 지방 저축은행으로 영업구역을 옮기거나 대금업자들과의 위탁업무로 전환하고 있다.
전국모집인연합회 관계자는 “위탁업체중 30%정도가 영업을 포기했고 상당수의 위탁업체들이 카드대납업무등 적법한 사채업으로 업종을 돌렸다”고 말했다.
그러나 감독당국 관계자는 “위탁업체에 대한 규제 강화는 다단계식의 불법수수료 문제를 근절하기 위함이며 모집인에 대한 규정이 강화됐다고 해서 제도권에서 대출 받을 수 있는 고객이 사채시장으로 가겠느냐”라는 반박을 했다.
한 대형대금업관계자는 “그동안 상호저축은행들이 불법적인 다단계 수수료 및 고금리를 취한 결과 고객들이 체계성 있는 대형대금업체를 찾게 된 것일 뿐”이라며 모집인규제가 고객들을 사채시장으로 내몰았다는 주장에 대한 반론을 펼쳤다.
한편 푸른상호저축은행 관계자는 “7월부터 다중채무자가 드러나게 되면 대손충당금을 많이 쌓아 둔 상호저축은행만이 소액대출을 지속할 수 있을 것”이라며 소액대출에 대한 회계처리가 따로 필요함을 지적했다.
김호성 기자 kh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