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련이 은행의 주5일 근무제 도입을 공동 임단협 핵심 의제로 선정했다.
한국노총 등은 노사정위원회에서 주5일 근무제를 논의한다는 방침이지만 금융노련은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 한국노총과는 별도로 제도 도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정부의 관철입장에도 불구 노사정위원회에 참여한 경총등 사측은 반대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은행권 임단협과 노사정위등을 거치면서 은행 주5일근무제가 핵심쟁점으로 부각될 전망이다.
15일 금융계에 따르면 금융노련은 상급 단체인 한국노총과 별도로 은행의 주5일 근무제 도입을 추진한다는 강경입장을 표명했다.
금융노련은 지난 10일 전국대표자회의와 워크샵을 통해 은행 주5일 근무제의 독자적 도입을 추진키로 했다.
한국노총이 계획중인 노사정 위원회를 통한 제도 도입과는 별도로 은행 공동 임단협에서 주5일 근무제 도입을 관철시키겠다는 게 금융노련의 입장이다.
금융노련 관계자는 “금융권의 주5일 근무제는 지난 2000년 노사정 합의인 동시에 지난해 5인 특위를 통해 일정 부분 합의를 이룬 사항”이라며 “도입 시기를 늦추게 된다면 연내에 제도를 정착시키기 어렵다고 판단돼 독자적인 추진 방안을 마련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금융노련은 세계 3위에 달하는 자동화기기 보급율과 각종 금융 채널의 확대로 제도 도입에 따른 고객 불편은 미미할 것으로 분석했다. <관련기사 4면>
그리고 기업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경영자총연합회의 주장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기업의 경우 격주 휴무제 내지 주5일 근무제를 시행하는 경우가 많고 법인고객의 대부분은 금요일 오후에 자금결제를 마무리하는 경향이 뚜렷하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실제로 제도가 도입되기까지는 적잖은 난항이 예상된다. 임금과 근로조건 등에 대해서는 노사가 협의를 합의를 도출할 수 있지만 사회경제적 파장이 너무 클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한편 경총은 은행 주5일근무제도입시 그 여파가 일반기업체에 미칠수 밖에 없고, 이 경우 생산성은 떨어지고 임금부담만 늘어난다며 반대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