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이 각종 수수료 체계를 선진화하고 있다. 은행들은 원가에 대비한 정확한 수익성을 측정할 수 있는 툴을 개발하고 있으며, 수수료는 고객이 은행으로부터 제공받는 금융 서비스에 대한 정당한 대가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 모바일 등 금융거래 채널이 다양해지고 지점의 자동화기기가 날로 첨단화되면서 변화하는 고객의 금융거래 행태에 발맞춰 신설 내지 폐지 되는 수수료가 늘고 있다.
11일 금융계에 따르면 은행들이 수수료 체계를 자행의 상황과 고객의 욕구에 따라 부분 내지 전면 개편하고 있다.
하나은행과 한빛은행은 송금수수료의 지역 구분을 폐지했고 일부 서비스의 수수료 수준도 인하하기로 했다. 그밖에 은행들도 송금수수료 지역구분 폐지를 검토중이다.
그동안 은행들은 원가보전이라는 명목으로 기존의 수수료를 대폭 인상하거나 신설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수수료 부과 대상 서비스의 신설과 수수료 인상에 있어서 객관적이고 공정한 기준을 설정하지 못해 고객들의 항의가 높았다.
결국 수수료 인상과 수수료 부과 서비스의 확대는 단순한 수익성 증대가 최소한의 원가 차원이라는 은행의 주장은 설득력을 잃었다.
물론 은행들이 수수료 체계를 바꾸는 것이 단순히 인상폭을 줄이거나 폐지하는 것은 아니라는 게 담당자들의 지적이다.
다만 인터넷, 모발일 등 금융 거래가 가능한 채널이 다양화됨에 따라 일부 수수료를 조정하다는 것. 송금 수수료의 지역 구분 폐지도 이러한 맥락이다. 기술의 발달로 지역에 따른 송금 비용은 거의 차이가 없다는 분석이다.
그리고 서비스에 따라 인상이 불가피한 수수료는 과감하게 인상한다는 지적이다. 한 은행 관계자는 “단순한 금융 거래가 아닌 전문적인 금융 지식과 노하우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인상폭을 확대할 방침”이라며 “반대로 자동화기기나 원가 부담이 적은 서비스의 경우에는 수수료를 대폭 인하하거나 폐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다른 은행의 관계자는 “수수료는 금융 서비스 제공에 따라 고객이 지불해야 할 정당한 대가”라며 “이자율 조정과 수수료 지불 수준을 병행하는 방향으로 은행의 수수료 체계는 발전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