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행이 내년 1월 기업 개인고객 혼합형지점 설치를 시작으로 사업부제를 본격적으로 시행한다. 지점장은 기업고객 섭외를 전담하는 RM이 담당하게 되며 그 밑에 중소기업 소RM과 PB를 배치한다.
기업은행은 사업부제의 시행과 관련 행내 공모를 통해 130여명의 개인고객 전담 요원을 육성했고 전지점에 1명씩 금융상담역을 배치하는 등 올해 초부터 준비를 진행했다.
29일 금융계에 따르면 기업은행이 내년 1월중 정기인사를 통해 기업, 중소기업, 그리고 개인고객팀별로 직원들을 분류해 재배치하는 등 사업부제 실시를 단행한다. 지점도 혼합형 지점에 맞춰 개보수 작업에 착수하고 은행의 로고와 옥외광고물로 새롭게 구성한다는 방침이다.
지점장을 겸임하게 될 기업고객 담당 RM은 전체 직원의 10% 안팎에서 공모를 통해 선발할 예정이다. 상권의 특성상 중소기업 고객이 많은 지점은 부분적으로 소RM이 지점장을 맡게 된다.
기업은행은 지난8월 본점조직을 고객·시장중심의 사업부제로 바꾸는 조직개편을 단행한데 이어 변화관리팀을 신설, 사업부제 도입과 정착을 위한 작업에 나섰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은행의 특성을 고려해 혼합형 지점을 운영하는 것이 적당하다는 판단을 내렸다”며 “기존의 중소기업고객을 유지하면서 대기업과 개인고객에 대한 마케팅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영업을 추진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기업은행은 개인고객업무의 확대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기존 중소기업 및 영세상공인의 금융거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3억 미만의 거래에 대해서는 개인고객으로 간주해 처리토록 하고 있다.
금융계 일부에서는 기업은행이 사업부제를 본격적으로 도입함에 따라 장기적으로 민영화를 다시 추진해야 하며 내년 제도 시행에 맞춰 예산권을 단계적으로 은행에 넘겨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올해 기업은행은 영업실적이 크게 호전됐지만 국책은행의 입장에서는 성장의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사업부제를 조기에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인센티브제도의 도입이 필요하지만 예산권을 정부가 갖고 있어서 충분한 성과보상체계를 구축할 수 없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