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행이 대출금리 체계를 전면 개편하고 대출금리를 인하하면서 다른 은행들이 대책마련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뚜렷한 대책이 없어 전전긍긍이다.
일부 은행의 경우 곧바로 대출금리를 인하했지만 대부분 은행들은 실세금리 변화 추세를 좀 더 지켜보자며 소극적인 대응으로 맞서고 있다.
하지만 결국 다른 은행들도 금리를 인하하거나 특단의 방안을 강구해 국민은행의 저금리 전략에 대응할 수 밖에 없다는 게 금융계 중론이다.
국민은행의 금리인하에 다른 은행들이 촉각을 곤두세우는 것은 국민은행의 저금리 정책은 예상된 결과였고 별반 대책도 없다는 사실도 이미 예상됐기 때문.
국민은행은 기존의 우대금리(프라임레이트) 제도를 없애고 시장금리연동형 대출 기준금리를 신설하는 등 대출금리 체계를 전면 개편했다. 개인고객은 연 8.3%로 기존보다 1.20~1.45%P 낮은 수준의 금리를 적용받고 이와 함께 연 8.5%의 고정금리로 운영해오던 공무원가계대출금리도 최고 1.8%P 낮추게 됐다.
한빛은행과 기업은행이 지난달 각각 연 6.6%와 연 7.27%의 변동금리형 공무원신용대출을 출시했고 조흥은행도 조만간 비슷한 상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신한은행은 지난 10월말 기준금리연동으로 대출금리를 개편하면서 시장연동금리를 0.2%P 내렸고 이번주중 일반 담보대출금리도 추가로 인하할 계획이다. 신한은행의 경우 올해초부터 개인금융 확대를 위해 마진이 줄더라도 시장점유율을 확대하라는 은행장의 지시가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준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부분 은행들은 금리인하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입장이다. 실세금리의 지속적인 하락으로 사실상 예대마진이 사라진 현재의 상황에서 대출금리의 인하는 수익성 악화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다.
국민은행은 기존 고객이 월등히 많아 피해가 적지만 다른 은행들은 자칫 고객을 보호한다는 취지에서 금리인하를 단행했다가 더 큰 화를 입을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주 실제금리의 이례적인 변동은 이러한 우려가 현실이 될 수 있음을 증명했다. 91물 CD연동 금리의 경우 12일 4.39%에서 16일 4.57%로 1.8%P가 높아졌고 국고채 금리는 같은 기간 1.2%P, 회사채 금리는 0.45%P가 올랐다.
결국 금리 인하를 통해 기존의 거래고객을 유지하고 시장점유율을 지키던지, 아니면 현재의 금리수준을 유지해 수익성을 확보하던가 양자택일만이 남았다.
이와 함께 국민은행은 시장선도은행으로써 은행권 전체의 영업을 고려하는 대의를 고려한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국민은행의 경우 출범 직후부터 수수료 현실화를 주장하고 있는데 수익 확대가 아닌 원가를 반영한다는 것이다. 대출도 원가를 고려해 은행간에 출혈경쟁이 발생하지 않도록 국민은행이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