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은행에 대한 공적자금 투입 지연이 평화은행의 경영정상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공자위는 평화은행이 공적자금을 지원받기 위해서는 두달이내에 경영정상화목표를 달성하던가 아니면 자구방안을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이 두가지 모두 실현되기 어렵다는 것이 평화은행은 물론 금융계의 지적이다.
먼저 상반기에 미달한 경영정상화목표를 두달내에 달성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다. 결국 평화은행은 공자위가 만족할 만한 자구방안을 마련해야 하는데 이 역시 쉽지 않다.
인력감축 외에 평화은행이 제시할 수 있는 자구방안은 없지만 평화은행에게 있어서 추가 인력감축은 불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평화은행은 이미 지난 6월말 전체인력의 10%, 200명을 명퇴시키고 900여명이라는 최소한의 인력만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추가 인력감축은 은행의 영업 포기와 직결된다.
더욱이 IT자회사 설립과 관련 노조가 파견된 인력을 모두 철수시키고 장기 농성에 돌입한 상황에서 노조를 설득하는 것은 힘들다는 지적이다.
결국 평화은행은 9월말까지의 결산자료를 근거로 연말까지 실현 가능한 목표를 수정해 제시하는 방향으로 자구방안을 마련할 전망이다.
이와 관련 평화은행 관계자는 “인력감축을 제외한 자구방안을 마련중”이라며 “은행의 영업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비용을 절감하는 방향으로 방안을 마련해 공자위에 제출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공자위가 평화은행이 어떠한 자구방안을 마련하든지 결국 수용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예보 관계자는 “공자금 투입유보는 경영정상화목표 미이행에 따른 제재방안일 뿐 공자금 투입을 거부하는 것은 아니다”며 “결국 평화은행이 성실하게 자구방안을 마련한다면 공자금은 투입될 것”이라고 말했다.
더욱이 공자위가 평화은행의 자구방안을 수용해도 여론의 질타를 피하기는 어렵다고 금융계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어차피 공자금을 투입할 것이라면 굳이 투입시기를 지체할 필요가 있었냐는 지탄을 받을 것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평화은행의 경영이 어려움을 겪는 중요한 요인으로 불충분한 공적자금이 적기에 투입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은 계속돼 왔다.
물론 공자위의 입장에서 경영정상화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금융기관에 순순히 공자금을 투입하는 것도 부담이다. 하지만 공자금 투입의 목적이 해당 금융기관의 경영정상화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는 공자금의 조기회수라면, 투입시기를 보다 신중하게 결정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