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금융계에 따르면 은행들은 세계적인 경기침체를 반영한 주가하락이 최근 바닥에 왔다고 보고 경쟁적으로 주식형 상품판매에 나서고 있다.
국민은행은 주식형 상품인 `국민뉴-스타트신탁` 을 이날부터 판매키로 했다.
이 상품은 안정형과 안정성장형 등 2종으로 판매된다.
안정형은 주식과 주식관련 파생상품에 10%까지 투자하는 동시에 채권이익 범위내에서 주식투자를 하게 되고 안정성장형은 시가총액 비중이 큰 낙폭과대 우량종목 등에 30%까지 투자해 고수익을 목표로 운용된다.
신한은행도 이날부터 `분리과세 하모니 신탁`을 판매한다.
이 신탁은 펀드의 10% 이내에서 주가지수 파생상품 등에 투자해 비교적 낮은 위험으로 고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파생상품의 최대 손실한도를 채권이자 범위내로 제한해 원금보전을 추구하도록 설계돼 있다.
한미은행은 지난 8일부터 주식에 30%까지 운용하되 배당유망종목에 집중투자하는 `굿뱅크 배당포커스`를 시판하고 있다.
한미은행은 주식형 상품에 대한 고객들의 불안감 해소를 위해 안정적인 배당수익을 보장하고 목표가격 달성시 채권형으로 전환된다고 설명했다.
조흥.외환.주택은행도 이미 지난달 일제히 주식형 상품을 내놓았다.
조흥은행은 7%대의 배당수익률이 예상되는 배당주식에만 투자하는 `배당플러스펀드`를, 외환은행은 1천억원 규모의 고배당 주식펀드를 선보였다.
주택은행도 주식.파생상품에 40%까지 투자하는 신탁상품을 내놓았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주가가 바닥을 쳐 상승세로 돌아섰다고 판단되는데다 실질금리도 마이너스로 돌아섰다`며 `장기적으로 주식투자에 대한 메리트가 어느때보다 높은데다 정부의 증시안정대책에 부응하기 위해 주식형상품을 만들었`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여전히 주식투자에 따른 은행의 부담과 고객의 불안감도 크다` 면서 `배당종목투자나 채권형 전환, 원금보전 등 손실에 대비한 안전장치를 마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송훈정 기자 hjso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