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닉스 반도체에 대한 추가지원 방안과 관련 신규자금 지원을 놓고 채권 금융기관간에 첨예한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금융계는 일단 출자전환 등에 있어서 합의를 도출한 만큼 큰 고비는 넘겼다는 중론이지만 신규자금지원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이상 하이닉스의 장래는 여전히 불안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예보가 채권금융단의 하이닉스 지원에 따른 자금부담과 경영정상화 목표 수정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밝혀 채권금융 기관들이 추가지원 여부를 조속히 결정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중론이다.
24일 금융계에 따르면 하이닉스에 대한 추가 자금지원과 관련 예보가 나서서 경영정상화목표를 수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예보는 MOU상에 은행이 정상적인 경영을 유지하는 가운데 외부의 급격한 상황 악화로 경영정상화 목표를 이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이를 충분히 감안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하이닉스와 관련 아직 일어나지도 않은 사건 때문에 경영정상화목표를 수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예보 관계자는 “하이닉스의 미래에 대해 누구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경영목표를 수정한다는 것은 자칫 하이닉스가 법정관리로 넘어갈 수 있다는 것을 금융당국이 인정하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만약 법정관리로 넘어가 추가 충당금 부담으로 경영정상화 목표의 달성이 어렵게 된다면 목표 미이행에 따른 불이익을 부과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물론 예보가 추가 자금지원에 따라 경영정상화 목표를 수정한다고 해서 하이닉스에 대한 자금지원이 원활하게 이뤄진다는 보장은 없다. 그리고 추가로 자금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조흥, 한빛 외환은행 등으로 추가자금 지원이 이뤄지던 법정관리로 넘어가던 부담이 고스란히 남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하이닉스 지원에 대한 채권금융 기관들이 입장을 조속히 정리하고, 선발 도매금융 전문 은행들이 다시 한번 경영의 위기를 초래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차원에서 예보가 사전에 경영정상화 목표를 수정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는 것이 금융계의 중론이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