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30일 국회 정무위 엄호성(한나라당) 의원에게 제출한 은행별 해외점포의 `고정` 이하 부실여신 현황자료에 따르면 지난해말 11억4천937만 달러였던 해외 부실채권은 올들어 지난 3월말 현재 11억7천167만 달러로 2천230만 달러가 늘었다.
은행들은 채권을 그 건전성에 따라 정상적인 원리금 상환이 가능한 경우 `정상`으로 분류하고 연체나 불규칙한 원리금 상환, 회수불능 등 불건전성 수준을 보아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은행별로는 현지법인 4개와 지점 10개를 가진 한빛은행이 2억5천272만 달러로 가장 많았고, 이어 신한은행 2억4천312만 달러, 외환은행 2억2천431만 달러 등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한빛은행 도쿄지점의 경우 1억6천15만달러 규모의 부실채권을 갖고있어 이 은행의 해외점포 부실채권중 57.8%를 차지했고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의 싱가포르지점도 이 은행 해외점포 부실채권중 95.8%를 차지했다고 엄 의원측은 밝혔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