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보험공사와 조흥은행이 경영정상화 목표수정과 관련 의견을 조율중이지만 원만한 타결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조흥은행은 99년 이후 진행했던 대규모 부실채권 매각과 연말을 목표로 진행중인 지분 매각작업이 막바지인 상황에서 경영정상화 목표를 수정한다면 그동안 기울인 노력이 물거품이 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예보는 경영의 자율성은 최대한 인정하되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실천하는 것은 공적자금을 투입받은 은행으로써의 기본적인 임무라고 밝히고 있다.
16일 금융계에 따르면 예보와 조흥은행은 9월까지 경영정상화 목표를 수정해야 하지만 아직까지 실무협의는 물론 기본원칙에도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조흥은행은 예보가 요구하는 경영정상화 목표는 실제로 은행의 경영개선에 실익이 없는 재무지표로 오히려 직원들의 업무의욕을 저하시키고 정상적인 경영을 지속하는데 저해가 된다는 지적이다. 또한 지난해말 추가로 공적자금을 지원받지 않았기 때문에 경영목표를 수정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다.
더욱이 연말까지 정부의 지분을 현재의 80%대에서 50% 미만으로 낮추기 위해서 투신운용사와 카드부분의 지분 매각을 추진하는 상황에서 9월까지의 재무지표만을 근거로 경영정상화 목표를 수정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납득할 수 없다는 것이다.
조흥은행 한 관계자는 “공적자금을 투입받은 처지에 MOU와 경영정상화 목표를 놓고 왈가왈부한다면 모럴헤저드로 인식될 수 있겠지만 국민의 혈세를 지원받은 만큼 그동안 지적된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정부와 예보도 진정으로 은행 경영이 개선되기를 바란다면 자율경영의 기간을 최소한 연말까지만이라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예보는 공적자금을 투입받은 금융기관에 대한 경영간섭과 감시는 예보의 권리며 책임사항이라고 밝혔다.
예보 관계자는 “예보는 정부출자 지분의 경제적 가치를 우선 고려해야 한다”며 “목표를 부여하고 이를 실천하는지 감시하는 것은 해당 금융기관의 경영에 간섭하다는 의미보다 정부출자 지분에 대한 가치를 높인다는 의도로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