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외자를 도입해 신인도를 제고하려거나 경영권을 넘기려는 국내 증권사들의 경영전략에 비상이 걸렸다.
우선 현대증권의 무산 가능성이 가장 큰 것으로 알려졌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시간을 계속 끌고 있는 AIG의 의도가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다”며 “이러한 불투명한 협상과정은 투자업체에서 발빼기에 대한 명분 쌓기가 아닌가 하는 지적이 많다”고 말했다.
AIG는 그동안 현대증권에 10억달러를 투자하겠다는 관심을 보이며 현대측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바 있다.
그러나 AIG는 시간이 지날수록 정부측의 현대에 대한 부실떠넘기기가 현대증권그룹의 앞길을 막고 있다며 이에 대한 보상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증권업계 다른 관계자는 “주주의 이익보다 증권사 직원, 정부 관계자 등의 입김이 많이 작용하는 한국적 자본주의 풍토에 회의적인 시각을 AIG가 보내고 있다”고 털어놨다.
대우증권의 외자유치는 아직까지 진행중이며 성사여부를 확실히 판가름할 수는 없지만 난항을 겪는 것은 사실인 것으로 밝혀졌다. 대우의 외자유치를 담당하는 관계자는 “경영권 협상, 주당가격 등에 관한 합의점 구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고 밝혔다.
대우증권의 외자유치에 관해 투자의향을 밝힌 외국업체 또한 “한국에 투자한 후 로컬(local) 활동이 보장되지 않고 수익성 여부도 불투명한데 신중을 기하지 않을 수 없다”고 대우 및 산업은행 측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의향을 밝혔던 몇몇 업체는 협상을 포기하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증권사들의 외자유치가 줄줄이 무산될 경우 증권업계뿐 아니라 국가 신인도에도 치명타를 안길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국내 일각에서는 최근 늘고 있는 외자유치에 대해 당장의 성과를 눈앞에 두고 무리하게 추진할 게 아니라 고비용 저효율의 구조 개혁이 우선순위가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한편 이와 관련 현대증권은 “일정이 조금 늦춰진 것일 뿐 외자유치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고, 대우증권도 “협상과정은 언제나 난항을 겪기 마련이고 11월에는 가시적인 성과가 드러날 것이므로 조금 더 기다려 보자”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문병선 기자 bsmoo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