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종금사가 종금업을 고수하면서 투자은행을 모색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금사들은 향후 유동성 위기 극복을 위한 신뢰도 확보에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전망된다.
24일 종금업계에 따르면 금감위가 발표한 종금사 발전방안이 증권, 은행으로 전환에 초점을 맞추는 등 현재 종금업계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는 큰 도움을 주지 못해 관심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금업계는 이번 발전방안에 종금업계의 유동성 위기 극복을 위한 조치가 포함되지 않은 것에 못내 아쉬워 하는 입장이다.
한국종금 김인주사장은 지난 18일에 개최된 토론회에서 “현재 종금업계에 필요한 것은 규제완화나 업무영역 확대보다 유동성 위기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처럼 종금업계가 유동성 위기 대책을 필요로 하는 이유는 2001년 시행되는 예금자보호법 때문이다.
종금업계는 IMF 이후 21개 종금사가 퇴출되는 등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으면서 금융업계에서 가장 많은 신뢰도 하락을 겪었다. 이로 인해 2001년부터 2000만원까지만 예금이 보호됨에 따라 10월 이후 예금이탈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최근 나라종금이 영업정지되면서 종금업계 전반적으로 유동성 확보에 대한 비상이 걸려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문제는 유동성 확보를 위한 특별한 방법이 없다는 사실이다. 유동성 확보를 위한 방법은 여신을 줄이는 수밖에 없는 데 이는 결국 수신 규모도 함께 줄여 나가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동성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금융당국의 특단의 조치를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종금업계가 대안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이 바로 이미지 제고를 통한 신뢰도 확보. 중앙종금이 문화사업과 이미지 광고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도 바로 회사 신뢰도의 확보를 위한 것이다.
종금업계는 아직 유동성에 문제는 없다고 밝히고 있으나 유동성 위기는 지금이 아닌 3/4분기 이후에 본격적으로 대두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종금업계는 유동성 위기를 헤쳐나가기 위해서는 상반기중 신뢰도 확보를 위한 대안마련이 무엇보다 필요한 실정이다.
김성욱 기자 wscorpio@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