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뷰-권대영 금융위 금융혁신기획단장] “샌드박스, 전반적 규제 개선 기회”
“금융규제 샌드박스로 아이디어를 테스트 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게 전반적인 금융규제를 개선하는데도 좋은 기회라고 보고 있습니다.”권대영 금융위원회 금융혁신기획단장은 최근 한국금융신문과의 인터뷰에서 “...
2019-05-20 월요일 | 정선은 기자
-
[한국금융미래포럼] “핀테크 혁신, 새로운 금융서비스 불러온다”
서강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장이자 한국핀테크지원센터장인 정유신 교수는 핀테크 전문가다. 현재 한국 핀테크의 수준과 전망을 누구보다 정확히 분석한다. 그는 현재 금융권이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는 진단을 내렸...
2019-05-20 월요일 | 유선희 기자
-
[한국금융미래포럼] “오픈뱅킹, 금융 수출 입국 절호의 기회”
“신생 핀테크 기업이 혁신 아이디어를 갖고 다양한 시도해볼 수 있는 실험의 장이 필요합니다.”김태훈 레이니스트 대표는 핀테크 혁신을 위해 스타트업이 다양한 실험에 뛰어들 수 있는 장이 넓어져야 한다고 강조...
2019-05-20 월요일 | 한아란 기자
-
[한국금융미래포럼] “신한금융, 250억원 투자·250개 기업 육성”
“5년간 육성기업 250개에 250억원을 투자, 혁신 성장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합니다.”21일 오후2시 은행회관 국제회의실에서 열리는 2019 한국금융미래포럼 ‘혁신성장 금융에서 답을 구하다’에서 조영서 신한금융지...
2019-05-20 월요일 | 전하경 기자
-
[한국금융미래포럼] “페이 플랫폼 고도화 금융 패러다임 바꾼다”
‘일상의 이로운 흐름을 만드는 생활 금융 플랫폼’. 신원근 카카오페이 부사장(CSO, 최고전략책임자)이 2019년 한국금융미래포럼에서 내건 슬로건이다.카카오페이는 국내 최초 온라인·모바일 간편 결제 시스템을 도...
2019-05-20 월요일 | 홍승빈 기자
-
[인터뷰 - 정유신 서강대 경영학부 교수] “기술과의 결합 다양한 금융서비스 기대”
“금융과 기술의 결합이 본격화됐습니다. 앞으로는 보다 다양한 금융서비스가 나올겁니다. 예를 들어 AI(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가 지금보다 더 완성된다면 텔러를 대체하는 일도 가능하겠죠. 또 전화를...
2019-05-07 화요일 | 유선희 기자
-
[인터뷰] 권대영 금융위 금융혁신기획단장 “상시적 규제 샌드박스 체계 최우선”
“금융규제 샌드박스가 실험으로 끝나서는 안 되겠죠. 성공 평가를 받으면 금융 라이센스를 받고 진출할 수 있고, 실패한 테스트도 자산입니다. 재도전 기회가 주어지고요.”권대영 금융위원회 금융혁신기획단장은 최...
2019-04-29 월요일 | 정선은 기자
-
한국금융신문, ‘2019 한국금융미래포럼’ 5월 21일 개최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신기술과 신산업은 융합과 복합에서 나온다. 한국의 미래를 책임질 혁신적 융·복합은 규제혁신 없이 불가능하다. 기존의 경제 체계에서 벗어나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정...
2019-04-22 월요일 | 유선희 기자
-
사진으로 본 2018 한국금융미래포럼
▲ 지난달 28일 오후 서울 은행회관 2층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한국금융신문 주최 ‘2018 한국금융미래포럼’ 행사에는 최종구 금융위원장(첫째줄 왼쪽 일곱번째) 등 금융권 60여명의 최고 리더들이 참석할 정도로 열...
2018-06-04 월요일 | 편집국
-
[한국금융미래포럼] 금융계 별들 한 자리에 포럼 성료
“언론사 포럼에 이 정도로 많은 유관기관장과 CEO들이 참석한 것은 처음 봅니다. 게다가 내용이 좋아서 그런지 끝까지 남아있는 사람이 이렇게나 많았던 것에도 놀랐습니다.” ‘2018 한국금융미래포럼’ 행사에 참...
2018-06-04 월요일 | 장호성 기자
-
[현장 스케치] 블록체인 ‘장외토론’ 펼쳐져…ICT업계·대학생도 열공
“한국금융미래포럼을 통해 블록체인과 기타 산업분야의 융합 시너지를 배울 수 있었습니다.” 지난 2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개최된 ‘한국금융미래포럼: 블록체인·핀테크 생태계 선도전략과 과제’에 참석한 ...
2018-06-04 월요일 | 신미진 기자
-
[한국금융미래포럼] “핀테크와 블록체인, 4차산업혁명 핵심 어젠다”
“핀테크(Fintech)와 블록체인(Blockchain)을 어떻게 활용하고 전개하느냐가 4차 산업혁명 시대 한국의 경쟁력과 연결될 것이다.”한국금융신문이 5월 28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개최한 ‘2018 한국금융미래포럼’...
2018-06-04 월요일 | 편집국
-
[인터뷰 - 정유신 핀테크지원센터장] “기술 간 융합 용이한 환경 조성해야”
정유신 핀테크지원센터장은 “4차 산업혁명에 따라 기술 간 융합이 활발해질 것”이라며 “한국도 기술 간 융합이 용이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정유신 핀테크지원센터장은 5월 28일 오후2시 은행회관에서...
2018-06-04 월요일 | 전하경 기자
-
[인터뷰 - 김승주 고려대학교 교수] “블록체인 원천기술 확보 필요”
김승주 고려대 정보보안대학원 교수는 “글로벌 시장에서 짝퉁기술은 살아남을 수 없다”며 “한국은 블록체인 원천기술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승주 교수는 5월 28일 오후2시 은행회관에서 열린 ‘2018 한국...
2018-06-04 월요일 | 전하경 기자
-
[인터뷰 - 후카가와유키코 와세다대학 교수] “한·일 손잡고 새 서비스 창출”
후카가와 유키코 와세다대학 정치경제학부 교수는 “핀테크나 블록체인 산업에서 원천기술을 소유했는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고 말했다. 후카가와 교수는 5월 28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 국제회의실에서 한국금융신...
2018-06-04 월요일 | 김수정 기자
-
[인터뷰 - 김우섭 피노텍 대표] “블록체인·ICO 부정적 시선 우려돼”
“민주주의 혹은 자본주의, 주식시장 등 초기에 이 정도의 광풍과 문제점을 가지고 있지 않았던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고 본다” 김우섭 피노텍 대표가 2018년 한국금융미래포럼 패널토론에서 국내에서 블록체인과 ...
2018-06-04 월요일 | 김승한 기자
-
[인터뷰 - 김종환 블로코 이사] “블록체인 관련 규제 필요할 때”
지난 28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2018년 한국금융미래포럼’ 패널토론에 참석한 김종환 블로코 이사가 블록체인 플랫폼과 활용에 대한 내용을 전하며 규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김 이사는 “블록체인...
2018-06-04 월요일 | 김승한 기자
-
‘한국금융미래포럼’ 진단…블록체인의 허상과 미래
“블록체인은 분명히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수 있는 미래 동력 기술이다. 그러나 이를 만병통치약으로 판단해서 막연한 기대를 가지면 안된다. 성장성이 풍부하기는 하지만, 블록체인이 모든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는 ...
2018-06-04 월요일 | 서효문 기자
-
[한국금융미래포럼] 김승주 교수 "암호화폐 결제 속도개선 탈중앙화 훼손"
김승주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교수가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속도를 단축시키는 기술은 블록체인 탈중앙화를 훼손시킨다"고 말했다.김 교수는 28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2018 한국금융미래포럼'에서 블록...
2018-05-28 월요일 | 구혜린 기자
-
[한국금융미래포럼] "원천기술 중요치않아" "새로운 기회" 블록체인 패널토론 열기
"핀테크나 블록체인 산업에서 원천기술을 소유했는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후카가와 유키코 와세다대 정치경제학술원 교수)"블록체인이 인간을 행복하게 하는 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김우섭 피노텍 대표)"암호화...
2018-05-28 월요일 | 정선은 기자
-
[한국금융미래포럼] 정유신 핀테크지원센터장 "블록체인 제도화 논의 진행해야"
정유신 핀테크지원센터장은 "보안 이슈 등이 커지면서 블록체인 중요성이 커질 수밖에 없다"며 "우리나라도 블록체인 제도화 논의를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28일 오후2시 은행회관에서 열린 '2018 한국금융 미래포...
2018-05-28 월요일 | 전하경 기자
-
[한국금융미래포럼] 이준행 고팍스 대표 “정부 지원 통해 블록체인 개발 선도해야”
이준행 고팍스 대표는 28일 “블록체인은 만병통치약인 것만은 아니고 위험도 굉장히 많은 기술”이라며 “그러나 신산업 분야에서 혁신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이를 위해 연구 및 개발 등 노력하고 있...
2018-05-28 월요일 | 한아란 기자
-
[한국금융미래포럼] 김승주 교수 "블록체인 '잊혀질 권리' 없다"
김승주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교수가 "마치 포털에 '잊혀질 권리'가 없다는 게 문제가 되는 것처럼 블록체인도 프라이버시 보호를 하는 게 어렵다"고 말했다.김 교수는 28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2018 한국...
2018-05-28 월요일 | 구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