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선 연구원은 "최근 논의되고 있는 전기요금 개편과 서울 수도요금 및 대중교통 요금 인상이 현실화될 경우 소비자물가를 약 0.2%p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전망했다.
그는 또한 소비자물가의 9.3%를 차지하는 전월세 가격 상승, 통화량 확대 이후 서서히 진행될 서비스 물가 상승과 경기회복에 따른 인플레 압력 등이 더해져 소비자물가는 완만한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연구원은 "전세계적인 적자재정 편성 기조는 중장기적으로 인플레 압력을 높이는 배경"이라며 "과거 소비자물가가 1% 초반을 기록했던 2018년 상반기 BEI는 0.80~0.95%p에서 형성됐다"고 지적했다.
현재 0.7%p 초반의 BEI는 내년 물가상승이 현실화되는 과정에서 0.9%p까지 확대될 것으로 봤다.
12월까지는 추가적인 교육비 하락 영향이 물가에 반영되겠지만 향후 6개월 정도의 시계에서 물가채의 상대적인 아웃퍼폼을 예상했다.
■ 중장기 시계에서 물가채 편입 고려 필요
이 연구원은 "10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대비 0.1% 상승에 그쳐 8월(+0.7%)과 9월(+1.0%) 상승폭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면서 "정부의 통신비 지원으로 전체 소비자물가의 5%를 차지하는 통신요금이 10월 중 14% 급락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번 통신요금 인하에 따른 일시적 효과를 제외하면 10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대비 0.8% 상승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11월과 12월 소비자물가는 0.8%(yoy) 내외의 상승이 예상되며 올해 연간 0.6%, 2021년 1.1%, 2022년 1.5%로 물가상승 압력은 완만하지만 꾸준하게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중장기 시계에서 물가채 편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고교 무상교육 확대에 따른 물가하락 영향은 내년 중 종료된다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코로나 발생에 따른 수요부진 외에 그 동안 기조적으로 물가하락을 견인했던 공공요금 인하의 효과가 내년부터는 상당부분 소멸될 것"이라며 "정부는 2019년 하반기부터 고교3학년을 대상으로 무상교육을 실시했고 올해는 대상을 2학년까지 확대했다. 이는 전체 소비자물가를 0.23%p를 끌어내리는 효과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고교 1학년에 대한 무상교육은 내년부터 시행 예정이었으나 다수 지역에서 올해 하반기 조기 시행함에 따라 물가하락 효과가 올해 하반기로 집중된 측면이 있다.
이 연구원은 "아직 시행하지 않은 일부 지역이 올해 말~내년 초 동참하고, 이로써 2019년부터 진행되었던 고교 무상교육에 따른 교육비 하락은 내년 초 마무리될 것"이라며 "2021년 4월부터는 교육비 하락 영향력이 약화되기 시작해 내년 9월에는 대부분 소멸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