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병두닫기

이어 "경제중대본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의 목적은 금융시장과 실물경제간 괴리의 간극을 줄여나가고 민생금융안정 패키지가 자금이 필요로 하는 곳 구석구석까지 닿을 수 있도록 꼼꼼히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금융시장은 안정되었으나 실물경제는 어려운 상황 지속
손병두 부위원장은 "국내 금융시장은 코로나 관련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다소 변동성을 보이고 있지만 주가는 연초 수준으로까지 회복되었고 회사채·CP 시장도 전반적으로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나, 금융시장의 회복세와는 달리 실물경제는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며 "이른바 ‘금융시장과 실물지표의 괴리’가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 지난 1분기 경제성장률은 1.3% 감소했고 수출과 고용의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는 등 실물부문의 여건과 전망은 여전히 어두운 것으로 나타났다.
손 부위원장은 "시중의 유동성이 기존의 우량기업과 금융시장 내에만 머무르면서 신용등급이 낮거나, 코로나19로 업황전망이 좋지 않은 기업들에게까지 자금이 충분히 흘러가지 않고 있는 것도 한 원인"이라고 밝혔다.
■ 코로나19 금융지원실적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프로그램'의 주요 금융지원 실적을 살펴보면 1차 소상공인 지원프로그램을 통해 13.2조원이 지원됐으며, 2차 소상공인 지원프로그램을 통해 2,986억원이 집행됐다.
그 밖의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자금지원 확대를 통해 15.7조원, 회사채·단기자금시장 안정화를 위해 7.5조원이 지원됐다.
금융권 전체 대출·보증 지원 실적은 6.12일까지 159.4만건, 130.9조원의 자금이 지원됐다.
업종별로는 지원건수 기준으로 음식점업(32.3만건)-소매업(27만건)-도매업(18.1만건) 순으로 자금이 지원됐다..
지원금액 기준으로는 기계·금속 제조업(19.8조원)-도매업(16.5조원)-소매업(10.4조원) 순으로 금융 지원이 이뤄졌다.
유형별로는 신규대출·보증이 총 126.8만건, 66.5조원 실행됐고, 기존대출·보증 대상 만기연장이 32.6만건, 64.4조원 실행됐다.
기관별로는 정책금융기관을 통해 96만건/68.7조원, 시중은행을 통해 61.2만건/61.4조원의 자금이 집행됐다.
이지훈 기자 jihunle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