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이하 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날 베를린에서 열린 한 행사에 참석한 숄츠 장관은 청중과의 질의응답 시간에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당장 적자재정을 실행하겠다는 뜻은 아니다”면서도 “독일 2분기 역성장과 미국과의 무역분쟁 확대 위험 등 안팎에서 경고조짐이 이어지는 만큼 정부에 적자재정을 고려하도록 만드는 압박이 커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 16일 슈피겔은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숄츠 재무장관이 경기침체가 발생할 경우 재정적자를 수용할 준비가 돼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번에 숄츠 장관이 해당 보도 이후 처음으로 동원 가능한 재정부양 규모를 구체적 수치로 제시한 셈이다.
그는 이어 “우리는 재정을 동원할 수 있어야 하고 또 그럴 능력이 된다”며 “가장 큰 문제는 미중 무역전쟁을 비롯한 불확실성”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독일 헌법에서는 연방정부 부채를 경제성장시 국내총생산(GDP)의 0.35%씩만 순증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경기침체에 빠지면 이 규정이 완화된다.
장안나 기자 godbless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