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별 교통사고 사고건수, 부상자수, 사망자수 현황 [자료=국토부]](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19030311180104356c1c16452b011214843158.jpg&nmt=18)
연도별 교통사고 사고건수, 부상자수, 사망자수 현황 [자료=국토부]
3일 경찰청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3781명으로 전년(4185명) 대비 9.7% 감소했다. 연간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6년 연속 줄어 연간 사망자수가 3000명대로 떨어진 것은 지난 1976년 이후 42년 만이다. 지난 1991년에는 연간 사망자수가 최고 1만3429명에 달했다.
지난해 발생한 사고건수는 모두 21만7148건으로 전년(21만6335건) 대비 0.4%(813건) 증가했다. 부상자는 32만3036명으로 전년(32만2829명)과 비교해 0.1%(207명) 증가했다.
교통사고 사망자는 보행 중일 때가 39.3%(1487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자동차 승차중 35.5%(1341명), 이륜차 승차중 19.5%(739명), 자전거 승차중 5.5%(207명) 순이다.
보행 사망자 비중은 OECD 국가 평균(19.7%)의 두 배 수준으로 보행자 안전이 여전히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다행히 보행 중 사망자는 모두 1487명으로 전년(1675명) 보다 11.2%(188명) 줄었다.
시간대별로 △18~20시(229명) △20~22시(199명) △22~24시(156명) 순으로 사고가 발생해 퇴근 후 저녁 시간대에 보행자 사망사고가 집중된 것으로 조사됐다. 무단횡단 사망자는 518명으로 전년(562명) 보다 7.8%(44명) 줄었다. 보행 사망자의 34.8%다.
65세 이상 노인 사망자는 1682명으로 전년(1767명) 보다 4.8%(85명) 감소했다. 보행 중일 때가 50.1%(842명)로 가장 많았고 자동차 승차중 22.5%(379명), 이륜차 승차중 19.6%(330명), 자전거 승차중 7.5%(126명) 순으로 발생했다. 특히 전체 보행 사망자 중 65세 이상이 56.6%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13세 미만 어린이는 34명으로 전년(54명)과 비교해 37.0%(20명) 줄었다. 어린이 사고는 보행 중일 때가 64.7%(22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자동차 승차중 20.6%(7명), 자전거 승차중 11.8%(4명), 이륜차 승차중 2.9%(1명) 순이다.
65세 이상 운전자로 인한 사망자는 843명으로 전년(848명)과 비교해 0.6%(5명) 감소했다.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망자는 346명으로 전년(439명)과 비교해 21.2%(93명) 줄었다.
버스, 화물차를 비롯한 사업용 차량으로 인한 사망자는 748명으로 전년(821명)과 비교해 8.9%(73명) 감소했다. 사업용 차종별로 보면 노선버스가 전년대비 33.3%(46명) 크게 줄었고 전세버스 18.8%(6명), 화물차 14.1%(4명), 렌트카 9.5%(11명) 순으로 줄었다. 다만 택시는 187명으로 전년과 동일했다.
고속도로 사망자는 252명으로 전년(248명) 보다 1.6%(4명) 소폭 증가했다. 경부선(41명), 중부내륙선(36명), 서해안선(33명), 중부선(24명) 순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수가 줄어든 이유는 교통안전 체계를 차량과 운전자 중심에서 사람과 보행자 중심으로 전환한 결과"라며 "올해도 보행자 수요가 많은 곳에 안전시설을 확충하고 사고다발 지역에 교통사고 예방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뉴스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