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픽사베이
소피아 리 무디스 선임연구원은 5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소비심리 악화, 실업률 상승이 퇴직한 베이비붐 세대가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개인사업자의 사업 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따라서 자영업자 대출의 자산건전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소피아 리 선임연구원은 "자영업자 대출의 자산건전성 악화는 한국 은행권의 신용도에 부정적이지만 한국 경제의 성장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 자영업자 대출과 관련한 은행들의 여신심사 정책은 이러한 리스크를 완화하는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올 6월말 기준으로 국내 은행 및 비은행 금융회사의 자영업자 대출 잔액은 590조7000억원에 달한다. 전년 동기 대비 15.6% 증가한 것으로 은행권 총 여신 잔액에서 자영업자 대출이 차지하는 비율은 22% 수준이다.
2015년 전체 인구의 12.8%를 차지했던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20년 15.6%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자영업자 대출에 대한 높은 수요 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자영업자 대출 중 부동산임대업 비중이 40.9%에 달하는 점도 꼽힌다. 은행들은 서울 부동산 시장 활황과 요구자본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은 반면 마진이 높고 담보비율이 높은 자영업자 대출을 늘렸다.
소피아 리 선임연구원은 "현재까지 자영업자 대출의 자산건전성은 양호한 수준이지만 다수의 거시경제 지표가 리스크 확대를 시사하고 있다"며 "이런 대출의 차주인 서민층 가계는 국내 경기 변동에 특히 민감하다"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