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통위는 12일 기준금리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수정 경제전망도 발표한다. 한은의 기준금리는 지난해 11월 0.25%포인트 인상을 단행한 이후 현 수준인 연 1.50%를 유지하고 있다.
7월 금통위는 금리 동결이 유력하게 점쳐진다. 고용 부진으로 경기 우려가 커진 데 더해 미·중 무역전쟁 등 대외 불확실성 확대도 한은의 발목을 잡는다. 10일 금융투자협회가 채권 보유 및 운용 관련 종사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한 바에 따르면 응답자 89%가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주열닫기

1500조원 가까이 불어난 가계부채도 부담 요인이다. 지난 달 발표된 한은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1분기 국내 가계부채는 1468조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분기에 비해 110조원 늘어난 규모다. 이미 은행 대출금리가 상승세인 상황에서 정책금리 인상은 서민들에게 부담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국회 예산정책처가 지난 5일 발간한 자료에 따르면, 시중금리가 1%포인트 오를 경우 변동금리 부채 보유가구의 연평균 이자 지급액은 기존 402만5000원에서 496만6000원으로 94만1000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상황에서 추가 금리인상 시점을 가늠케 하는 소수의견과 수정 경제전망에 관심이 쏠린다. 만약 한은이 기존 3.0%의 성장률 전망을 유지한다면 대내외 불확실성이 국내 경제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본다는 의미다. 연내 최소 한 차례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이란 신호로 해석된다.
시장 전문가들은 3~4분기 인상설을 지지하면서도, 이번에 인상 소수의견이 없다면 연내 인상은 힘들 것으로 짚고 있다. 윤여삼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소수의견이 나온다면 8월에 인상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이번에 소수의견이 나오지 않는다면 연내 인상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혜린 기자 hrgu@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