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시장 13조 연평균 8% 성장
데이터가 자산으로 부각되는 이유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개인 미디어의 급속한 보급으로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데이터가 생성되고 이를 매개로한 산업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세계 시가총액 2위인 알파벳(구글 모회사), 4위에 아마존, 8위에 페이스북이 올라왔을 만큼 고객 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수익모델을 가진 기업의 성장세가 가파르다.
데이터 경제란 데이터에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협업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생산, 인프라 제공, 연구조사 등 서로 다른 역할을 담당하는 구성원으로 이뤄진 생태계를 의미한다.
국내의 경우 데이터 경제 개념과 유사한 지표인 한국데이터진흥원의 데이터 산업 시장 규모는 2015년 기준 13조 3555억원이며 2016년은 13조 6832억원으로 전년대비 2.5%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데이터 산업의 2010년 이후 연평균 증가율은 8%를 넘는다.
◇주요국 데이터 역량 강화 중
영국은 데이터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교육과정의 개선과 공무원의 분석 능력을 강조한 '데이터 역량 강화 전략'을 발표했다. 영국은 오픈 데이터 로드맵을 통해 데이터의 개방과 오픈데이터의 재활용을 위한 지원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데이터 거래 산업에 대한 투명성 강화에 주력하고 있으며 데이터 분석과정에서 적용되는 알고리즘에 의한 인권 침해를 방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EU는 최근 발표한 '유럽 데이터 경제 육성'을 통해 데이터를 경제성장과 사회 발전을 위한 필수 자원으로 간주하고 데이터의 접근권과 이전권을 강화하며 법적책임 명시, 기술 표준 제정 등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신윤철 기자 raindrea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