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창용 캠코 사장은 14일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오는 9월 1조 9000억 원 수준의 금융공공기관 부실채권을 처음으로 인수할 예정"이라며 "부실채권을 효율적으로 인수함으로써 정부의 가계부채 해소 대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문재인 정부는 지난 3월 '금융공공기관 부실채권 관리 제도개선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캠코의 이번 조치는 이에 호응하는 차원에서 진행되는 것이다.
◇금융공공기관 부실채권 적극 조정
문재인 정부는 부실 채권 정리를 통해 경제활동 회복을 돕겠다고 나섰다. 은행들은 연체된 채권을 1년 내 상각했지만 금융공공기관은 3~10년 이상 기간 보유했다.
캠코는 금융공공기관 부실채권 상각을 전담 관리하며 각 기관들이 보유한 채권들을 조정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기술보증기금과 신용보증기금, 예금보험공사, 주택금융공사, 농림수산업자신용보증기금, 신용회복위원회는 연내 개인 상각 채권을 캠코에 단계적으로 매각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지난 4월 체결했다. 캠코는 이달 안에 기관별 채권 매각 규모와 가격 산정을 위한 협의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우선 상환 능력이 없는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채권을 상각하되, 상환 능력이 있음에도 상환을 기피하는 사례에 대해선 해당 기관과 추가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문창용 사장은 "금융공공기관 등 공공채권은 물론 국민행복기금 중심의 민간채권 등 각 영역에 걸쳐있는 다중채무자의 종합적인 재기를 위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신윤철 기자 raindrea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