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한국은행

이날 금융통화위원회 금융안정회의를 마친 뒤 가진 오찬 기자간담회에서 이주열 총재는 "가능성은 낮지만 조작국으로 지정돼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면 시장안정 조치를 하겠다"고 말했다.
이주열 총재는 "이번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에서 미국측 입장을 귀담아들어 보니 환율정책의 투명성을 특히 강조한 부분이 눈에 띄었다"고 언급했다.
지난 주말 열린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의 공동선언문에 "보호무역주의를 배격한다"는 문구가 미국측의 반대로 3년 만에 공동선언문에서 빠지면서 트럼프닫기

이주열 총재는 "(환율조작국) 지정이 된다면 양자협의가 이루어질 것"이라며 "협의를 통해서 빠른 시간 내에 해지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는 것이 그 다음의 방안"이라고 말했다.
대응 방안으로 이주열 총재는 "기초경제 여건을 이탈해서 쏠림현상으로 시장의 변동성이 크게 확대될 경우 시장안정을 위한 최소한의 조치를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주열 총재는 중국의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관련 경제 보복에 대해 "중국인 관광객이 3월에 20% 내외 감소하고 여행이나 숙박업 등 관광 관련 업종 매출이 타격을 받고 고용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우려된다"며 "다음 달 경제전망을 다시 한 번 점검할 때 이러한 무역 제한조치의 영향을 파악해서 반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가계부채 누적이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영향도 있다는 지적과 관련해선, 이주열 총재는 "2014~2015년 상황에는 워낙 경기회복 모멘텀이 약화되었기 때문에 통화정책 운용 측면에서 금리로 대응할 수밖에 없었다"며 "다만 거시건전성 정책이 좀 잘 짜여서 뒷받침됐더라면 하는 아쉬움은 남는다"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