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21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신성장분야 지원을 위한 정책간담회를 개최, 신성장위원회 위원을 위촉하고 4차 산업혁명 대응 신성장분야에 대한 정책금융 지원방안을 논의했다. / 사진= 금융위원회

이날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신성장정책금융협의회 주관으로 열린 '신성장분야 지원 정책간담회'에서 임종룡 위원장은 "신성장위원회의 출범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중요한 첫 걸음"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말 각 정책금융 기관 별로 제각각 운영되던 신성장 분야에 대한 지원 기준을 하나로 통일한 '신성장 공동기준'을 마련하고 이날 '신성장위원회'가 발족됐다. 위원장으로는 이창양닫기

신성장 공동기준에 따라 올해 중 정책자금 85조원이 첨단제조, 바이오, 문화콘텐츠 등 유망 신성장 산업과 서비스 산업에 공급될 예정이다.
창업-회수-성장-재도전의 선순환 기업 자금 생태계 정착도 유도된다. 임종룡 위원장은 "창업 관련 보증 프로그램을 전면 재정비하는 등 창업 단계 별 맞춤형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창업·벤처기업에 투자한 자금이 원활히 회수될 수 있도록 회수시장 육성도 강조됐다. 임종룡 위원장은 "코스닥·코넥스의 상장제도 개선, 장외시장(K-OTC)의 거래 편의성 개선 등 회수시장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대출, 보증 이외 민간의 모험자본에 의한 투자 필요성도 꼽혔다. 임종룡 위원장은 "창의적인 모험자본이 많이 공급되도록 투자한도 등 크라우드펀딩 제도를 개선하고 사모펀드에 대한 규제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한 신성장위원회에 대한 당부도 나왔다. "신성장 분야에 정책금융이 제대로, 효과적으로 배분될 수 있도록 자금집행 계획을 수립"하고 "모범사례(Best Practice)를 만들어 민간 금융회사가 자발적으로 동참할 수 있는 분위기도 조성해 나갈 필요" 등이 강조됐다.
임종룡 위원장은 "신성장 위원회가 우리나라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구심점이 되고 우리 경제와 금융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큰 힘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