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2016년 12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4.2로 11월(95.8)보다 1.6포인트 하락했다. 12월 CCSI 지수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4월(94.2)과 같은 수준으로 7년 8개월 만에 최저치다.
대외적으로 미국 연준(Fed)의 기준금리 인상, 대내적으로 대통령 탄핵 정국 등이 복합적으로 소비심리와 체감경기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CCSI가 기준선(2003∼2015년 평균치)인 100을 넘으면 경제 상황에 대한 소비자들의 심리가 장기평균보다 낙관적이라는 의미다. 이번 조사는 지난 13∼20일 전국 도시의 2200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됐고 2050가구가 응답했다.
부문 별로 특히 소비자들의 체감경기를 보여주는 현재경기판단 CSI가 55로 11월(60)보다 5포인트 떨어졌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3월(34) 이래 7년 9개월 만에 최저 수준이다. 현재 경기가 6개월 전보다 나빠졌다고 응답한 소비자가 전달보다 크게 늘어났다는 뜻이다.
12월 소비지출전망 CSI도 103으로 11월(106)보다 3포인트나 떨어져 소비를 줄이는 '소비 절벽' 우려가 나온다.
주택가격전망 CSI는 12월에 97을 기록, 11월(107)보다 10포인트 가량 급락했다. 특히 앞으로 1년 뒤 집값이 현재보다 떨어질 것으로 보는 주택가격전망 CSI가 기준선인 100 밑으로 떨어진 것은 2013년 2월(95) 이후 3년10개월 만이다.
지난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물가인식은 2.4%로 전달보다 0.1%포인트 떨어졌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을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12월 2.5%로 전달과 같았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