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은 21일 '보호무역주의 현황 및 우리 수출에의 영향' 보고서에서 보호무역주의 조치에 따른 한국의 직·간접적 수출 차질 규모가 올해 1∼9월 중 통관 수출의 0.7%(24억 달러) 수준으로 추정됐다고 밝혔다.
또 지난해 보호무역주의에 따른 수출 차질 규모는 통관수출의 0.5%(24억 달러, 명목 국내총생산의 0.2%)로 분석됐다.
한은 보고서는 "이런 추세가 지속되면 수출 차질 규모가 2017∼2020년에 통관수출의 0.8%(연평균) 수준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경기의 회복이 지연되면서 비관세 장벽을 중심으로 보호무역조치가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반덤핑 제소를 많이 한 국가는 인도(68건), 미국(56건), 브라질(54건), 상계관세는 미국(30건), 캐나다(5건) 순으로 많았다.
이같은 보호무역조치 대상 국가는 중국, 한국, 대만 등 주로 신흥국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한국 상대 반덤핑, 상계관세 등 무역구제 조치는 2008∼2009년(18건) 대비 2014∼2015년(41건) 두 배로 늘어났다. 지난 11월 말 현재 한국 상대 시행·조사가 진행 중인 보호무역 조치는 반덤핑 132건, 상계관세 7건, 세이프가드 43건 등 모두 182건에 달한다. 품목 별로는 철강금속(88건), 화학제품(54건)이 전체의 78%를 차지했다.
보고서는 "세계 경제의 회복 지연과 소득양극화 심화로 보호무역주의 강화 흐름은 당분간 지속할 전망"이라며 "특히 자국 우선주의를 표방하는 미국 트럼프닫기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