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이 2일 발표한 '2016년 3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올해 3분기(7~9월) 실질 국민총소득은 전기대비 0.4% 감소했다. 실질 국민총소득은 지난 2분기에 -0.4%를 기록하고 2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게 됐다.
또 올해 3분기(7∼9월)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 분기보다 0.6% 성장하는 데 그쳤다. 이는 0.7%로 발표됐던 속보치보다도 0.1%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국내총생산 성장률은 작년 4분기 0.7%를 기록하고 벌써 4분기째 성장률이 0%대에 머무르고 있다.
한국은행은 경제통계국은 "실질 국민총소득 감소는 실질 국내총생산이 증가하고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전분기와 비슷했지만 교역조건이 악화된 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처럼 3분기 우리 경제 성장률이 속보 대비 소폭 떨어진 것은 자동차 업계 파업,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 단종, 개별소비세 인하 등 요소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3분기 민간소비 증가율은 0.5%로 2분기(1.0%)보다 감소했다. 건설투자도 속보치(3.9%)보다 낮은 3.5% 떨어졌다.
다만 정부소비 증가율은 추경예산 집행 등으로 2분기 0.1%에서 3분기에는 1.4%로 올랐다. 설비투자도 속보치(-0.1%)에서 0.2% 증가로 수정됐다.
수출은 속보치(0.8%)보다 증가세는 둔화됐지만 반도체와 화학제품 등이 늘어 0.6% 증가했다.
업종 별로는 특히 제조업 감소 전환이 두드러졌다. 제조업은 2분기 1.2% 증가에서 3분기엔 마이너스 0.9%로 전환됐다.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분기(-2.5%) 이후 7년6개월만 가장 낮은 수준으로 집계됐다.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 단종, 자동차 업계 파업 등으로 운송장비, 전자기기 업종 타격이 컸다는 분석이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