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26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영국의 EU 탈퇴에 따른 대응을 위한 '자본시장 비상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 사진= 금융위원회

이날 오후 3시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자본시장 비상점검회의에서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단기적으로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영국과 EU 간 교역관계에 따른 연쇄적인 부정적 파급영향 부각 등으로 시장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으나 지나치게 불안해하기 보다 차분히 대응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영국의 EU 탈퇴조건 협의, 회원국 동의 등 절차를 거치는 만큼 길게는 최소 2년의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점이 강조됐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당사국인 영국과 EU을 포함해 세계 각국의 정부가 시장에 미치는 부정적인 파급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책공조를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며 "단기적으로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수는 있어도 경제 펀더멘털에 큰 변화가 없는 만큼 실물경제 위축 등 연계효과가 당장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다만 영국이 EU를 탈퇴하는 과정에서 영국과 EU 간 교역조건 재설정 등 협상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국내외 시장이 지속적으로 영향받을 가능성은 주의사항으로 거론됐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다른 EU 국가들의 추가탈퇴 이슈가 부각될 가능성도 글로벌 시장의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입 등 우리 자본시장 상황을 면밀히 예의주시하고 변동성이 과도히 확대될 경우 이전에 마련된 비상대응계획(컨틴전시 플랜)에 따라 적극적인 시장안정조치를 적기에 신속히 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임종룡 금융위원장 주재로 열린 이날 회의에는 이동엽 금융감독원 자본시장 담당 부원장, 최경수 한국거래소 이사장, 황영기닫기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