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LG경제연구원이 발표한 '브렉시트 리스크 진단'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4월 우리나라 주식 외국인 순매수 금액인 2조8000억원 중 영국계 순매수가 4200억원으로 15%에 달했다. 이는 미국 다음으로 큰 규모다.
3~4월에 한정하면 영국계 자금 이탈에 대한 우려는 더욱 크다. 보고서에 따르면 3~4월 영국인 투자자의 매수액은 1조8000억원으로 전체 외국인 주식 매입의 3분의 1 수준이다. 매수와 매도금액을 합한 거래기준으로 보면 34%를 차지할 만큼 큰 규모이다.
강선구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브렉시트가 현실화하면 영국계 자금의 직접 유출뿐만 아니라 영국 익스포져가 높은 아일랜드나 네덜란드 등 유럽계가 아시아 시장에서 자금을 회수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아울러 브렉시트가 현실화될 경우 영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도 추가로 체결해야 하는 문제도 제기됐다.
영국의 수입에서 FTA 체결국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기준 11.5%(665억 달러)에 달한다. 우리나라의 대영국 수출은 노르웨이, 스위스 등에 이어 네 번째로 73억9000만 달러다.
강선구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과 영국간 FTA 재협상 결과가 EU와의 FTA 수준보다 낮을 경우 영국과의 교역 규모는 EU와 FTA 체결 이전의 100억달러 미만으로 줄어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한편, 영국 재무부는 브렉시트가 이뤄지면 15년 뒤 영국의 국내총생산(GDP)은 3.8~7.5% 떨어지고, 1인당 GDP도 1100~2100파운드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