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자료= 현대상선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날 현대상선은 서울 시내 모처에서 그리스 선박운영사 다나오스 등 컨테이너선 보유 해외선주 5곳과 막판 용선료 협상을 벌인다. 현대상선은 배를 빌린 22곳의 해외선주들과 제각각인 용선료를 평균 28% 수준 내릴 것을 협상해 왔는데 이중 난색을 표한 5곳 정도의 선주들과 직접 대면하기로 한 것이다.
현대상선은 이들 선주사에 용선료 인하분의 절반가량을 현대상선 주식으로 출자전환하는 방안을 제안한 상황이다. 계약시점 용선료가 현 시세에 비해 4~5배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현대상선이 지난해 지불한 순수 용선료 총액은 9758억원에 이른다.
이날 협상에는 현대상선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의 정용석 구조조정부문 부행장 등 채권단 관계자도 참석한다. 채권단은 해외선주들에게 직접 현대상선의 재무상황과 정상화 가능성 등을 설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채권단은 당초 용선료 협상 마감시한으로 5월 중순을 제시해왔다.
채권단 관계자는 "해외선주들이 용선료를 깎아주면 회사(현대상선)가 어떤 모습으로 되고, 채권단은 어떤 지원을 할지 궁금해 하는 상황"이라며 "하지만 협상 이전에 카드를 보여줄 수는 없으니 구체적인 내용은 답하기 어렵다"며 말을 아꼈다.
선주들은 이익을 두고 용선료 인하를 저울질 할 것으로 관측된다. 만약 현대상선이 법정관리로 가면 선주들이 용선료를 한 푼도 못건지는 만큼 용선료 인하에 합의할 수 있다. 반면 한국 정부가 용선료를 갚아줄 것으로 예측하거나 용선료 인하를 해도 향후 이익이 구체적으로 확정되지 않는다고 보면 버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용선료 인하 협상에 맞춰 현대상선 채권단도 측면 지원에 나섰다. 채권단은 앞서 지난 17일 채권단협의회 안건으로 현대상선의 협약채권 중 절반인 7000억원 가량을 출자전환하는 방안을 올렸다. 채권단 전체가 오는 24일까지 100% 동의하면 출자전환이 이뤄진다.
하지만 조건부 자율협약 중인 현대상선은 최우선 전제조건인 용선료 협상이 실패하면 법정관리 수순을 밟게 된다. 임종룡닫기

한편 현대상선은 올해 1분기에 영업손실이 1630억원을 기록했다. 또 지난 13일 새 해운동맹인 '더 얼라이언스'에 현대상선은 제외된 만큼 용선료 인하 협상 고비를 넘어도 해운동맹에 편입되기 위한 고군분투가 필요한 상황이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