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소장 양원근)가 15일 발표한 ‘국내 전세시장의 구조적 변화가능성 진단’ 에 따르면 신규 주택구입의 주 수요층인 무주택 전세가구의 경제여력 분석결과, 수도권의 경우 현재 보유하고 있는 순자산(평균 약 1억 5000만원)으로 주택(평균주태가격 : 약 3억 4100만원)을 구입하려면 50% 이상 대출을 활용하거나 외부로부터 자금 조달을 해야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의 경우 서울은 주택자금의 70%인 약 3억 5000만원을, 수도권은 약 1억 9000만원 이상을 추가 조달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현재 전세 거주가구의 경우 다른 임차가구에 비해 소득은 높은 편이나, 주로 3~4인 가구(56.6%)로 구성되어 상대적으로 생활비 등의 지출이 많고 최근 소득 증가보다 빠르게 상승하는 전세보증금 때문에 부채 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따라서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향후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가 확대되지 않는다면 무주택 전세거주자의 매매전환은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내다봤다.
KB경영연구소 이종아 연구위원은 “우리나라 전세시장의 수급여건과 구성원의 자산구조에 대한 분석결과 최근과 같이 가격상승에 대한 기대가 낮고 저금리 기조가 지속된다면 거주 유형 내 월세 비중은 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최근 정책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대형 임대사업자의 신규 시장 진입과 공공기관의 임대공급의 확대는 월세로의 전환 속도를 늦출 수 있는 변수로 작용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진단했다.
이나영 기자 lny@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