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3’ 총자산 200조 돌파…은행간 격차 10~20조
순이자마진 하락 등 수익성 악화에 ‘골머리’앓아
‘리딩뱅크’를 향한 은행들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리딩뱅크’로서 국민은행의 위상이 흔들리면서,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이 1위 자리를 호시탐탐 노리고 있는 것이다.
최근 발표된 3분기 실적에서도 이런 분위기를 감지할 수 있다. 국민은행은 3분기 당기순이익 등에서 양호한 실적을 거두며 선전했지만, 우리은행과 신한은행도 총자산 등에서 국민은행을 턱밑까지 추격하고 있는 양상이다. 그러나 우리은행과 신한은행도 순이자마진(NIM)의 하락 등 수익성 악화로 인해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 ‘빅3’, 총자산 200조 돌파
우리·신한은행 등 2위 은행들의 폭발적인 자산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총자산면에서 언제든지 업계순위가 뒤바뀔 수 있는 형국이다. 지난해까지 국민은행의 총자산은 211조8604억원으로, 우리은행 186조5000억원, 신한은행 177조에 비해, 20~30조원대 정도 앞서있었다.
하지만 최근 발표한 3분기 실적을 보면, 총자산의 격차가 크게 줄어들고 있다. 신한·우리은행 등 2위권 은행들이 지주사 전환과 M&A 등을 통해 덩치를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각 은행들이 발표한 3분기 실적에 따르면, 국민은행의 총자산은 226조5000억원이며, 우리은행이 213조, 신한은행이 202조6000억원이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도 총자산이 200조원을 넘어섰다.
우리은행의 총자산은 전년동기(178조)대비 35조 증가했고, 지난 2분기(196조)에 비해서도 17조 가량 증가한 것이다. 신한은행의 총자산도 전년동기(177조)대비 25조6000억원 증가했고, 지난 2분기(198조7000억)에 비해 3조9000억원 증가했다.
특히 지난 2분기에서는 신한은행이 앞서더니 3분기에서는 우리은행이 다시 2위 자리를 차지했다. 두 은행은 총자산면에서 엎치락뒤치락하며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는 셈이다.
◆ 수익성 악화
올 3분기 은행들의 실적에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수익성이 전체적으로 악화됐다는 점이다. 국민은행은 3분기 당기순이익에서는 비교적 양호한 성적을 거뒀지만, 3분기까지 누적기준으로는 지난해 동기보다 감소했다.
국민은행의 3분기 당기순이익은 7,750억원으로 전분기대비 5387억원(228%)증가했지만, 3분기까지 누적기준으로는 지난해 동기보다 2.8% 감소한 2조1938억원을 기록함으로써 ROA(총자산순이익률)와 REO(자기자본순이익률)는 연환산 기준으로 1.44%, 19.63%를 기록했다.
국민은행측은 “3분기 당기순이익이 전분기대비 크게 증가한 주요인은 2분기중 법인세 추가납부(4.820억원)관련 비용지출요인이 발생했기 때문”이라며 “전년동기대비로는 일회성 요인들을 제외할 경우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여기에 국민은행은 은행영업의 핵심 수익성 지표인 순이자마진(NIM)도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국민은행은 NIM가 지난 1분기 3.60%에서 2분기 3.48%로 떨어진 후 3분기에는 3.33%를 기록, 하락폭이 계속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국민은행의 수익성 악화에 대해 시장의 반응도 싸늘하다.
최정욱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국민은행의 수익성 악화가 지속되고 있다. 3분기 순이익이 증가한 것은 ING생명 매각익 1,170억원(세후 기준)에 기인한 것”이라며 “국민은행의 경우 대출금리 재조정작업을 진행하더라도 현재의 대출 증가세와 가격 경쟁이 지속되는 한 당분간 마진 하락은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성병수 푸르덴셜투자증권 애널리스트도 “국민은행의 마진 하락에 대한 묘안이 없다”며 “3분기 실적에서도 가장 우려스러운 것은 마진 추이라고 할 수 있는데, 2분기에 이어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다”고 지적했다.
우리은행과 신한은행 역시 사정은 비슷하다. 우리은행은 3분기 영업이익 3385억원, 당기순이익 2443억원을 기록, 전분기 대비 각각 48%, 54% 감소했다.
반면 누적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7%, 누적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9% 각각 늘어났다.
하지만 우리은행의 NIM은 계속 하락세다.
우리은행의 NIM은 작년 4분기 2.53%, 1분기 2.49%, 2분기 2.45%로 낮아졌으며, 이번 3분기도 2.37%로 전분기 대비 8%포인트 하락했다.
신한은행도 3분기 순이익이 3161억원으로 전기(7100억원) 대비 55.5% 크게 줄었다. 이자부문 이익은 9138억원으로 전기 대비1.1% 줄었고, 비이자부문 이익은 51.1% 급감한 3016억원에 그쳤다.
특히 3분기 NIM은 2.21%, 누적 NIM은 2.25%로 전분기 대비 각각 0.06%, 0.02%포인트가 하락했다. 신한은행의 NIM은 올해 1분기 2.28%, 2분기 2.27% 등 하락 일로에 있다.
이에 반해 신한은행의 누적 순이익은 1조8610억원으로 전년동기(1조4101조)보다 31.5%가 증가했다.
이처럼 ‘빅3’은행들의 공통적인 NIM하락은 증시 및 증권사 종합자산관리계좌(CMA) 등으로 빠져나가는 자금을 되찾아오기 위해 예·적금 금리 인상에 나선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또 부족한 대출 재원 마련을 위해 양도성예금증서(CD), 회사채 발행을 늘리면서 자금 조달 비용도 커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 4위권 싸움 혼조
‘빅3’간 접전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4위권 은행들도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지난달 19일 3분기 실적을 발표한 하나금융지주는 올해 3분기까지의 누적당기순이익이 1조1125원으로 1조원대를 돌파했다. 이는 전년 동기대비 3534억원(46.6%) 증가한 수치다.
하나금융의 3분기중 당기순이익도 3999억원으로 전분기보다 1275억원(46.8%)이나 증가했으며 총 자산은 전년대비 12.6%인 16조원이 늘어 140조5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주요계열사인 하나은행은 3분기 누적당기순이익으로 8727억원을 기록했으며, 3분기중 순이익은 2827억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하나은행의 순이자마진(NIM)은 3분기말 2.27%을 기록, 2분기말보다 0.04%포인트 줄어들었다.
기업은행은 올 들어 3분기까지 전년동기 대비 35% 늘어난 1조628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총자산은 전년말 대비 16% 증가한 123조원을 달성해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다만 기업은행 올 3분기 당기순이익이 2178억원으로 집계돼, 2분기의 3206억원보다 30% 가량 감소했다.
이에 대해 기업은행측은 “별정직 110여명의 퇴직금 지출과 NIM 감소 등 일시적 계절적 요인의 영향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NIM은 전분기 대비 0.03%포인트 떨어진 2.52%를 기록했다.
지난 2일 3분기 실적을 발표한 외환은행은 올 3분기중 1,944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달성했다.
이는 전 분기에 비해서는 29.89% 떨어졌지만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하면 275.15% 증가한 것이다.
외환은행은 또 올 3분기까지 누적 순이익은 71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7.6% 감소했다.
외환은행 측은 "지난해 당기순이익에는 하이닉스와 현대건설 등 출자전환 주식으로 인한 일회성 이익 4755억원이 포함된 것이며, 올해 당기순이익에서 이를 제외한 순수한 영업실적은 7030억원으로 전년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NIM 하락 현상은 외환은행도 예외가 아니었다.
3분기까지 누적 순이자마진은 대출금리 상승률 대비 수신 및 차입금리 상승률이 높아 전년 동기 대비 0.11%포인트 하락한 3.22%를 기록했다. 이처럼 4위권 은행들도 마찬가지로 NIM 하락 등으로 인해 수익성이 떨어지고 있다.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