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에서는 하나은행이 올해 초 개편된 인사시스템을 오픈했고, 우리은행은 최근 인사시스템 업그레이드를 위한 사업자 선정을 마무리 지은 상태다. 또한 외환은행 역시 근시일내에 인사시스템을 전면 재구축 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증권사 중에서는 한국투자증권이 올해 초 새로운 인사시스템을 오픈했고, 대우증권은 화이트정보통신이 시스템 재구축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이다.
미래에셋 역시 최근 시스템 재구축을 위한 사업자 선정에 나선 상태로, 빠르면 이번 달 내로 사업자 선정을 마무리 지은 후 재구축 작업에 돌입한다는 입장이다.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본격화되는 인사시스템 재구축 바람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라는 시장 동향을 반영한 것으로, 자금시장 통합법 등을 무한경쟁 체제로 들어선 금융기관이 성과지급 체계와 복리후생 등의 업무를 개선해 내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함에 목적이 있다.
◆ HCG, 우리銀 사업자로 선정
우리은행은 최근 급변하는 인사시스템의 트랜드에 신속하게 대응한다는 목적 하에, 약 5개월간의 개발기간이 소요되는 ‘우리은행 차세대 e-HR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에 돌입했다.
올 12월 구축 완료를 목적으로 진행되는 이번 사업은 우리은행 인사시스템 웹서버 SW인 ‘iPle net 4.1’의 서비스가 중단됨에 따라 추진된 것으로, 우리은행측은 이번 SW 서비스 중단을 계기로 노후화된 인사시스템을 대대적으로 개선한다는 입장이다.
△기존 프로그램 커스터마이징 △개선된 통합 UI 확보 △HR 최신 트랜드 반영이라는 3가지 목적 하에 진행되는 이번 구축사업은, 평가관리 시스템 재구축ㆍ정원관리 시스템 재구축ㆍ관리자 권한설정 세분화ㆍ통계/분석 시스템 도입ㆍ수작업 업무의 전산화와 같은 세부 작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우리은행은 지난 16일 참여 희망업체 3곳인 HCGㆍ화이트정보통신ㆍ엘준SW를 대상으로 제안 설명회를 진행했고, 지난 22일 HCG를 우선협상기업으로 선정해 가격협상만을 남겨놓은 상태다.
우리은행 HR전략팀의 정동식 과장은 “기존 인사시스템은 인하우스 모델로 개발해 현재까지 5년 이상을 사용해 왔다”며 “내부적으로 성과주의 제도를 도입하는 데 기존 시스템이 이를 원활히 받쳐주지 못했다”고 말했다.
또한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평가ㆍ인사ㆍ연수ㆍ급여ㆍ후생 등의 업무가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빠르면 8월 내로 계약을 완료하고 개발 작업에 돌입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HCG의 고승범닫기

◆ 외환銀, 예산 확보 시 돌입
외환은행도 최근 인사시스템 재구축을 위한 사전 작업으로 분주하다. 외환은행은 올해 초 오라클ㆍSAPㆍ삼양데이타시스템즈ㆍ화이트정보통신ㆍHCG 등의 기업에 RFI를 발송한 바 있지만, 아직 예산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에 사업이 지연된 상태라고 밝혔다.
외환은행 인사운용부 맹경제 과장은 “내부적으로 인사시스템 재구축을 위한 논의가 수차례 진행됐지만,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세운 것은 아니다”라며 “올해 초 발송한 RFI는 대표적인 인사솔루션 기업들의 제품군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현재 인사시스템 재구축을 위한 예산을 미처 확보하지 못했고, 이는 지난해 미리 예산을 신청해 놓지 않았기 때문”이라면서도 “예산만 확보되면 올해 말이라도 신속하게 시스템 재구축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시스템 재구축에 대한 방향성에 대해서는 “타 은행들의 경우는 일부를 수정하거나 업그레이드 하는 형태의 사업을 진행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RFP가 나와야 알겠지만, 인사시스템을 재구축하게 된다면 전체 시스템을 모두 교체하는 ‘턴키’ 방식이 될 것”이라고 시사했다.
김남규 기자 ng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