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위원회는 25일 경북저축은행이 무리한 신용대출로 인한 부실로 6개월간 영업정지 명령을 내렸다.
이에 따라 올 상반기만 3곳의 저축은행이 부실로 인한 영업정지를 당하게 됐다.
이같은 현상의 공통점은 총자산 5000억원 이하의 중소형 저축은행이라는 점과 2000년대 초 카드대란으로 무리한 신용대출을 확장했던 여파를 털어내지 못했다는 것이다.
올 1월과 3월에 전남의 대운저축은행과 홍익저축은행 뿐만 아니라 지난해 9월 경기도 분당의 좋은저축은행, 2005년 1월 서울 한중저축은행, 7월 부산 인터베스트 등이 이미 영업정지를 받은 바 있고 5000억원 이하의 총자산을 가지고 있으면서 부실의 원인이 2000년대 초에 무리하게 확대한 소액신용대출이었다.
업계 일부에서는 최근 대형 저축은행들을 필두로 신용대출 확대에 나서고 있어 우려가 더해지고 있다.<본지 5월 21일자 10면 참조>
하지만 대형저축은행의 경우 당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에서 성공적인 수익을 전환하면서 소액신용대출에 따른 부실 위험을 감쇄했고 늘어난 수익으로 신용평가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를 통해 대형저축은행은 과거와 다르게 안정적으로 신용대출 확대에 나설 수 있는 것으로 업계에서는 분석하고 있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대형저축은행의 경우 다시 신용대출을 적극 확대하고 나서고 있는데 신용평가시스템을 구축해 과거와 다르다”고 말했다.
고재인 기자 kj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