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외환은행과 외환은행 노조에 따르면 추석연휴전인 지난달 24일 은행측은 2급 부부장급이었던 박모씨를 비롯해 미보임자 56명 가운데 31명에 대해 특수영업팀 발령을 단행했다.
이에 대해 노조측은 불법적인 특수영업팀 발령을 전면 무효화하고 은행장 사과와 책임자 문책을 즉각 단행할 것을 경영진에 촉구하고 나섰다.
특히 노조는 이번 은행측의 인사조치에 대한 법적 대응은 물론 합의위반과 불법발령에 대한 경영진의 책임을 끝까지 물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은행측은 특수영업팀으로 2급 1명과 3급 4명, 4급 16명, 5급 10명 등 총 31명을 발령했다. 별정직 20여명을 제외하면 미보임자 대부분이 발령이 난 것이다. 특수영업팀 발령직원들은 모기지론 영업활동을 담당하게 되며 개인마케팅부장의 업무통할을 받게 된다.
노조 관계자는 “‘미보임자에 관한 문제는 노사가 서로 논의해 합의한다’고 했던 5월17일 노사합의서를 정면으로 뒤집은 것” 이라며 “노조는 이번 발령을 결코 인정할 수 없으며 합의위반에 따른 모든 사태의 책임은 전적으로 은행측에 있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관련규정도 만들지 않고 추석 전날 본점 광장에서 귀성버스가 출발하자 이를 기다렸다는 듯이 발령 낸 행위는 반인륜적이고 비열한 작태”라고 은행측을 맹비난했다.
이로써 인사제도개선협의회를 통해 인력문제를 노동조합과 성실히 논의하겠다던 은행측의 약속은 한낱 거짓말에 불과했음이 백일하에 드러났다고 관계자는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은행측은 특수영업팀은 영업인력을 시급히 강화해야 할 경영상의 필요성을 반영해 결정한 것으로 상황에 따라 업무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고 반박했다.
은행 관계자는 “은행마다 대기업영업팀과 중소기업담당 등으로 구분돼 영업활동을 펼쳐왔으나 소매직원은 없었다” 며 “이번 미보임자의 특수영업팀 발령은 이를 반영한 것으로 단순하게 부정적으로만 바라볼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특수영업팀으로 인사조치 된 모든 직원이 구조조정 대상은 아니며 은행측도 희망퇴직을 실시할 경우 전직원에게 공평하게 기회를 부여한다는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고 덧붙였다.
특수영업팀 운영방안에서 특수영업팀은 10월초부터 운영되며 본인의 실적에 따라 평가받는 성과급중심의 급여체계를 전면적으로 도입해 시행할 예정이다.
특히 예비 해고자에 대한 전직을 돕는 ‘아웃플레이스먼트(outplace ment)’ 연수를 제공해 조직차원의 정비작업도 병행할 계획이다.
앞서 은행측은 포스트 부족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발생한 미보임자나 역직위자에 대해 영업직무를 부여하기 위해 특수영업팀을 신설해 운영할 뜻을 내비쳤다.
양창균 기자 yangc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