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은행 내부감사의 초점은 위험, 통제, 지배구조 프로세스의 효과성을 평가하고 향상시키는데 맞춰져야 하며 감독당국은 이같은 내부통제시스템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지난 17일 금감원 정용화 부원장보, 이성남 금통위원, 은행연합회 변중석 감사, 각 은행 감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감사회는 내부통제 강화에 대한 얘기가 주를 이룬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우리카드에서부터 최근 코오롱캐피탈의 횡령사건까지 내부 직원에 의한 금융사고가 잇따르면서 내부통제 강화의 시급함이 다시 한번 강조됐다.
은행연합회 변중석 감사는 이날 미국의 감사기법 최근 동향 등을 소개하면서 통제자기평가(Control Self-Assessment·CSA), 가치증진감사(Value for Money·VFM), 예방적인 부정적발감사 등의 확산을 강조했다.
특히 CSA기법을 통해 조직구성원이 자율적으로 조직의 부정적발이나 경영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형태의 감사가 하루빨리 정착될 필요성을 언급했다.
또 궁극적으로는 효과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성과평가중심의 가치증진감사를 확대해 윤리경영 및 가치경영을 실현할 수 있어야 한다고도 지적했다.
이 자리에서 금감원 측은 내부통제시스템이 잘 갖춰진 반면 그 통제 절차를 지키지 않는 등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금융사고가 발생한다며 시스템 작동을 중점적으로 관리하도록 당부했다.
또 경영진은 내부통제업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체감사 기능을 확충할 필요가 있으며 각 영업점도 적극적인 법규준수가 필요하다고 지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조직 내부적인 변화와 함께 정용화 부원장보는 향후 감독방향 역시 내부통제시스템 등 자체 검사기능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중점적으로 검사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본점 종합검사를 할 경우 이 시스템의 정상 작동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영업점과의 연계검사도 강화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 참석한 이성남 금통위원도 향후 내부감사는 부정적발, 감시자로서의 역할이 아니라 효율성·효과성 감사로 예방적 컨설팅의 기능을 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원정희 기자 hggad@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