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우리은행은 ‘네트워크론 TF팀’을 설치하고 검토를 마무리하는 등 시중은행 가운데 가장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기업은행이 네트워크론에 대해 은행연합회에 ‘우선판매권 부여’ 여부를 심의요청 하고 특허청에는 특허출원을 지난달 초에 신청한 상태여서 적잖은 마찰이 예상된다.
2일 은행권에 따르면 기업은행이 신용보증기금과 함께 발주서를 갖고 오는 중소기업에 대출해 주는 네트워크론을 실시함에 따라 상당수 시중은행들도 참여를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우리은행의 경우 ‘네트워크론 TF팀’을 설치하고 네트워크론 참여에 대한 검토를 마무리하고 참여방식에 고심하고 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기존 이와 유사한 협력기업신용대출 B2B대출 등의 상품을 활성화시키거나 기업은행과 같은 방식으로 참여를 모색하고 있다” 며 “이를 위해 재경부에 네트워크론이 어느 특정은행에 독점적으로 이뤄지는 것 보다는 중소기업 종합대책의 일환에 맞게 2~3개의 시중은행이 참여할 수 있도록 요청했다”고 말했다.
신한은행측도 예전부터 네트워크론 형태의 대출시스템을 개발 중이어서 빠르면 2~3개월 이내에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대부분의 시중은행들이 네트워크론과 같은 대출방식을 준비하고 있으며 일부 은행은 조만간 시행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그는 또 “특정은행에 대한 특허권이나 독점권 부여는 말이 안되고 형평성에도 어긋난다” 며 “기득권은 인정하되 연말까지는 너무 길고 2~3개월 이내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밖에 국민은행과 조흥은행 하나은행 등 여타 시중은행들도 이미 기존 대출방식과 차별화가 없으나 진행상황을 지켜보면서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기업은행 관계자는 “과거 이와 유사한 대출상품이 있던 것은 사실이나 이번 네트워크론은 상당히 다르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네트워크론은 지난 6년간 기업은행이 인터넷 자동결제 시스템 등 전산시스템 개발에 노력한 결과물” 이라며 “발주서는 과거처럼 담보가 아닌 무역금융의 L/C와 같은 것으로, 납품대금을 전자결제방식으로 지급된 것 하나만으로도 획기적인 시스템”이라고 반박했다.
한편 기업은행은 현재 네트워크론에 대해 특허청에 특허출원을 신청한 상태이며 내달 중순경이면 은행연합회에서 네트워크론 우선판매권에 대한 심의결정이 확정될 전망이다.
양창균 기자 yangc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