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씨티은행이 한미은행을 인수하게 되면 기업에 제공하는 종합 자금관리 서비스에 네트워크까지 확보함에 따라 기업고객을 선점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들은 기업고객에 대해 자금관리서비스를 강화하는 방안을 내놓고 있다.
28일 금융계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기업에 대해 원료구매, 제조, 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의 결제서비스 등 종합적인 자금관리서비스(CMS : Cash Management Service)를 제공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시스템 구축 과정을 거쳐 연내 시행할 방침이다.
국민은행은 기업고객의 자금흐름과 관련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해주고 기업은 이를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의도다.
예를 들어 원료구매에 따른 결제에서부터 기업의 자금이 부족할 경우 신용공여, 발생한 외상매출채권에 대한 수금, 유동성 관리까지 전 과정에서의 자금을 관리해 주고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즉 기업의 CFO(재무담당임원) 역할을 자청하고 나선 것.
기존 국내 은행들이 해왔던 CMS는 여신, 결제, 가상계좌 등의 서비스가 분산, 제공돼 왔다.
그러나 국민은행은 개별적인 서비스가 아닌 패키지별 서비스를 구현하겠다는 계획이다.
이같은 종합CMS는 외국계 은행의 강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국내은행이 시스템에 의존, 인력을 최소화하고 자동화하는 서비스에 초첨을 맞춘 반면 씨티은행의 경우 많은 인력을 배치, 적극적인 자산관리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있다.
전담 센터와 전담 직원을 두고 기업의 수금관리 및 지급관리를 대행해주고 있는 식이다. 기업 입장에서는 인력을 줄이고 리스크를 헤지할 수 있게 된다. 은행은 일부 책임을 떠안는 대신 수수료 수익을 얻을 수 있다.
한미은행의 경우 이같은 CMS를 일부 구현하고 있다. 은행내 특정부서에 센터를 두고 전담 직원을 배치한다. 이들은 기업이 원하는 수금, 지급 등을 수행하게 된다.
향후 씨티은행이 한미은행을 인수할 경우 이같은 방식을 통한 기업금융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점쳐진다.
하나은행은 외국계 은행의 진출에 따라 이같은 적극적인 의미의 CMS를 실무 부서에서 일부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운영인력, 센터설립 등의 부담이 따를 뿐 아니라 실제 국내 기업의 수요가 있을지 여부도 불투명한 상황이어서 아직은 부담스럽다는 입장이다.
신한은행도 CMS를 강화하기 위해 기업 인터넷뱅킹 기능을 보완할 예정이다.
한번의 클릭만으로 자금을 이체한다거나 일정 시간에 이체를 할 수 있도록 보강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금융연구원 김상환 연구위원은 “아직 국내 은행들이 외국계 은행에 대응할 만큼의 종합CMS에 대한 준비가 미흡한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국내 기업의 경영인들은 아직까지도 은행을 ‘돈 빌리는 곳’ 이상으로 생각하지 않는 경향이 있어 시장성이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원정희 기자 hggad@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