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말 현재 전자화폐는 은행 13개, 신용카드사 5개로 총 18개 기관과 업체에서 발행하고 있으며 K캐시, A캐시, 비자캐시, 몬덱스, 마이비 등 5개사에서 전자화폐를 발행하고 있다.
특히 몬덱스의 경우 지난해 말 적자규모가 97억원에 이르는 등 자본 잠식이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으며 홍콩 등 동남아 지역 사무실은 이미 문을 닫은 상태다. 타 업체들 역시 어렵기는 마찬가지인 것으로 알려졌다.
IC칩이 내장된 스마트 카드는 기존 마그네틱선(자기띠) 방식의 카드보다 800배 이상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보안에 있어서도 우수하다.
더욱이 최근 신용카드 위·변조로 인한 범죄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위·변조가 거의 불가능한 스마트 카드의 도입이 시급한 상황이다.
국내외적으로 스마트카드 사업을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인식하고 있는 반면 실제 전자화폐를 추진하고 있는 업체들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전자화폐 업체들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표준통합이 안되고 있다는 점이다.
금융감독원은 올초 국내 스마트카드 표준을 발표한 바 있다. 스마트 카드의 신용카드 기능은 국제 결제카드 표준인 EMV를 도입했으나 전자화폐 기능은 금융권의 자율에 맡김으로써 업체간 갈등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은행 및 카드사들은 모두 다른 전자화폐 표준들과 제휴한 상태며 각 업체들은 모두 주요도시를 기반으로 표준화를 진행시키려 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고 있다. 즉 주요도시는 한정돼 있는데 반해 전자화폐 업체들은 너무 많아 ‘나눠먹기식’ 경쟁이 되고 있으며 표준 통합도 어려운 상황이다.
결국 똑같은 시장 안에서 중복투자가 이뤄지고 있는 모습이다.
이들 업체가 경영의 어려움을 겪는 또하나의 이유는 교통카드 시장이 수익성에 별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래 전자화폐는 소액결제수단일 뿐이어서 수익률은 높지 않다.
전자화폐 업체들이 교통카드 시장에 진입하려고 하는 것은 수익성보다는 초기에 소비자로 하여금 전자화폐 사용과 업체를 익숙하게 만듦으로써 향후 수익 창출의 밑바탕으로 삼겠다는 의도다.
또 정부의 정책적 뒷받침도 시급하다.
외국의 경우 정부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지원해 주기도, 규제를 하기도 하지만 국내에는 ‘금융거래법’과 같은 전자화폐 관련 법이 전무한 상황이다.
원정희 기자 hggad@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