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논란을 불러일으킨 곳은 감사원.
지난 27일 감사원은 국민은행이 합병과정에서 총 1737억원의 특별보로금을 지급했다며 경영성과와 연계되지 않는 과다한 보로금 지급이 은행 경영에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주의를 줬다.
반면 국민은행측은 합병 당시 지급한 특별보로금은 일종의 통합 비용으로 통합작업에 고생한 직원들에게 위로금 차원에서 지급한 것을 문제 삼는 것은 지나치다며 반발하고 있다.
한 국민은행 관계자는 “해묵은 얘기를 이제 와서 문제 삼는 이유를 모르겠다”며 “특별보로금 지급은 통합 과정에서 과로로 쓰러져 가며 고생한 직원들에게 지급한 위로금으로 업무성과에 따라 지급하는 성과급과는 성격이 다르다”고 반박했다.
금융계에서는 일단 국민은행의 손을 들어주는 분위기다.
국민은행이 지급한 보로금 규모가 지나치게 크다는 지적도 있으나 이 역시 당시에 논란이 제기돼 충분히 검증을 받았던 내용이라는 것.
더불어 이후 이어졌던 감사에서는 별다른 지적없이 지나친 내용을 1년 가까운 시간이 지난 지금에 와서야 다시 문제 삼는 것은 정치적 의도가 포함된 것 아니냐는 견해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양행간 합병과정에서 행장선임을 두고 국민, 주택간 경쟁이 치열할 당시 직원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경쟁적으로 보로금 지급규모를 확대했던 것은 문제의 소지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김행장 스톡옵션 행사 정당했나
또 감사원은 김정태닫기

또 신용카드사업의 경영부실 및 관리태만도 인사자료로 활용토록 했으며 통합전 경쟁적인 전산투자로 예산을 낭비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문제가 되고 있는 부분은 김정태행장의 스톡옵션 행사에 대한 내용.
이 문제는 당시에도 스톡옵션이 지나치게 많은 것 아니냐며 논란이 벌어져 결국 김행장이 스톡옵션 40만주중 절반을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밝히고서야 비로소 진화됐다.
이에 업계에서는 뒤늦게 감사원이 김정태행장의 스톡옵션 행사시기를 두고 문제제기에 나선 것은 김행장 개인에 대한 ‘흠집내기’ 아니냐며 의혹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또 은행 경영에 대한 부분까지 감사원이 간섭하고 나서는 것은 또 다른 관치의 다름 아니냐며 반발하는 목소리가 들리는가 하면 정부자금이 투입된 은행들에 대해 감사원이 경영감시에 나서는 것은 정당하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한편 이번 감사원 감사결과로 인해 김행장의 거취에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김행장 개인에 대한 감사 결과 부도덕한 행위가 발견됐다며 금감원에 인사자료로 통보되기는 했으나 이미 금감원 감사를 거친 해묵은 내용이어서 김행장의 도덕성에 큰 문제가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특히 정부가 김행장의 진퇴문제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명확히 한 상황에서 김행장 개인의 의사에 반한 퇴진은 불가능해 보인다.
김정민 기자 jm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