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증권 및 보험사들의 재해복구시스템 구축이 당초 계획에 비해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지난해 금감원은 금융권의 재해복구센터 구축 권고안을 통해 전 금융권을 대상으로 백업체제 구축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에 대해 대부분의 증권사와 보험사들이 올해안에 백업센터 구축을 완료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올초 이를 금감원에 보고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증권사와 보험사들은 올초에 세웠던 계획이 차질을 빚으면서 추진 일정이 늦춰지고 있다.
증권사의 경우 재해복구 시스템을 구축한 회사는 삼성 LG 대신 대우 등 대형증권사와 동양종금증권, 신영증권 총 6개사에 불과하다.
우리 현대 교보증권 등이 연말까지 백업센터 구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나머지 증권사는 내년 상반기 이후에나 추진이 가능하거나 아직 계획조차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증권사 전산 담당자는 “증시침체 등으로 일부 증권사의 경우 IT투자 여력이 없어 백업센터 구축을 연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보험권의 경우에도 아직 원격지 백업센터 구축이 지지부진하다.
대형 보험사의 경우에는 구축이 끝났지만 중소형사들은 아직 구축일정조차 잡지 못하고 있다.
교보생명은 지난 8월부터 백업센터 구축을 위한 사업자 선정에 들어갔으나 아직까지 세부적인 기술선정방식을 두고 내부에서 혼선을 빚고 있다.
중소형 보험사를 대상으로 한 보험개발원의 공동백업센터 구축도 참여를 타진중이던 보험사들의 미온적인 태도로 별다른 진척이 없는 상태다.
대한 그린화재는 참여를 포기했으며 동양 제일 신동아화재 등은 회사 내부 사정 등으로 참여 여부에 대해 아직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보험사 한 관계자는 “기간계시스템에 대한 투자가 많아 백업에는 투자하기 힘들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구축시한은 권고사항에 불과한 것이었다며 일단 개발계획 정도만 잡혀 있다면 제재는 하지 않을 방침이다.
장시형 기자 z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