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서울은행은 민영화후 주식가치를 높인 다음 나머지 지분을 분할매각하는 방식이 적용된다.
예보 고위 관계자는 31일 하나은행이 서울은행 인수에서 우선협상 대상자로 지정해달라는 요구에 대해 `우선협상자 지정은 하나은행에 특혜를 주는 셈인 만큼 있을 수 없는 것`이라면서 `예정대로 매각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서울은행을 좋은 가격에 팔기 위해서는 원매자가 많아야하는 만큼 특정 기업이나 은행에 우선협상권을 줄 수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매각 주간사인 골드만삭스가 금명간 매각제안서를 발송할 계획`이라면서 `제안서에 대해 많은 기업과 은행들이 관심을 표명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예보는 이와함께 서울은행의 매각으로 민영화가 이뤄지면 주가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나머지 지분을 추후 분할 매각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예보 관계자는 `서울은행의 매각은 쉽게 보자면 민간과의 합작 투자성격을 갖고 있다`면서 `합작후 경영실적이 호전돼 성과가 나면 그만큼 공적자금 회수가 높아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예보는 2000년 12월 서울은행에 총 6천108억원의 공적자금을 투입, 서울은행의 주식을 모두 보유했다.
서울은행은 99년 이후 HSBC, 도이체방크캐피탈파트너스 등과의 매각 협상이 성사되지 않아 작년말부터 국내외 기업 및 우량은행에 매각하는 방안이 추진돼왔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