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은 은행의 정보성 메일이 스팸메일로 간주돼 고객들이 피해를 입게 되면 연합회 차원에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1일 금융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시중은행 인터넷뱅킹 담당자들이 모여 회의를 열어 일단 은행들이 개별적으로 자체 대응책을 마련하고 앞으로도 다음이 정보성 메일에 대한 과금 조건을 개선하지 않으면 이에 공동 대응하기로 결정했다. 은행권은 다음이 정보성 메일과 광고성 메일에 관한 명확한 분류기준을 수립하지 못한 상태에서 네티즌 설문조사라는 방법을 통해 은행의 이메일 성향을 얼마나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가에 대해 의문을 품고 있다. 정보성 이메일을 받아보는 고객들이 피해를 입는 민원이 발생할 사태의 처리에 대해서도 고민하고 있다.
일단 은행들은 다음이 온라인우표제 적용 조건과 기준을 바꾸지 않으면 연합회 차원에서 공동 대응한다는 전제하에 개별적인 대응방안을 준비하고 있다. 국민은행은 지난달말 다음 회원인 고객들에게 이메일 계정 변경을 유도하는 내용의 공문을 발송했으며 신한은행은 1일부터 신규 회원을 대상으로 다음 이외 이메일 계정을 사용하도록 권고할 예정이다. 한빛 한미은행 역시 이메일 계정 변경을 점진적으로 유도할 계획이다.
김미선 기자 u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