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은 미국의 11월 실업률이 월간 기록으로 지난 6년 사이 가장 높은 5.7%에 달했으며 현 추세로 가면 6% 돌파도 가능할 것으로 관측됨에 따라 FRB가 금리를 0.25%포인트 내리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부 전문가는 FRB가 성탄절 소비 추세를 지켜본 후 여의치 않을 경우 내년 1월에 금리를 더 내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FRB는 실업률 상승이 결국 미 경제의 핵심인 개인 소비를 위축시키는 결과를 낼 것이라는 점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
와초비아 증권의 데이비드 오르 연구원은 `실업률이 상승하면 개인 소비가 경제를 계속 뒷받침할 수 없다는 점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면서 `월가는 경기가 회복될 것으로 낙관하는 쪽이나 FRB의 판단은 좀 더 비관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내년 1.4분기에 소비자들이 경기 침체를 실감하게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미노동부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지난 10-11월중 실업자가 79만9천명이 새로 발생했으며 이는 지난 74년 이후 2개월 기록으로는 가장 큰 것이다. 그만큼 소비 위축의 폭이 커질 수 있다는 얘기라고 나로프 이코노믹 어드바이저스의 조엘 나로프 수석연구원이 지적했다.
오르는 그러나 소비가 모든 부문에서 위축되는 것만은 아니라면서 저금리 덕택에 주택과 자동차 시장은 아직 구매세(勢)가 꺾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 예로 자동차 딜러룸에 제로할부금융 표지가 많이 붙어있음을 상기시켰다.
소시에테 제네럴 은행은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의 소비가 회복되고 있음을 뒷받침하는 지표가 나오는데 반해 실업률은 더 높아짐으로써 양측 간격이 확대되고 있음을 지적했다. 보고서는 `올 4.4분기가 특히 나빠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내년 봄이면 지금의 심각한 상황이 끝나지 않겠느냐는 판단`이라고 덧붙였다.
이 때문에 FRB가 이번에 금리를 0.25%포인트 내리게 될 것으로 본다고 지적한 보고서는 `FRB가 이번 성탄절 소비 추세를 지켜본 후 내년초 금리를 다시 조정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메릴 린치의 채권시장 분석가들도 이번에 금리가 0.25%포인트 인하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 관계자는 금리 추가인하와 함께 `FRB가 통화 정책의 기조를 지금의 완화에서 중립 쪽으로 바꿀 가능성이 희박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연방기금 금리는 올초 6.5%로 출발했으나 지난달 6일 0.5%포인트를 하향조정된 것을 포함해 모두 열차례에 걸쳐 4.5%포인트가 인하됐다. 이번에 금리가 추가 인하되면 존 F 케네디 정권 후 가장 낮은 수준이 된다.
김미선 기자 u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