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무디스는 내년 2월로 예정된 우리나라에 대한 연례협의 및 평가에서 국가신용등급을 현재의 `Baa2`에서 `Baa1`으로 한단계 상향조정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무디스는 30일 임시 신용등급평가위원회를 열어 이렇게 결정했다고 밝혔다.
무디스는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등급전망 상향조정의 이유로 `대외부분의 예외적인 안정성과 외환위기 재발 방지를 위한 신뢰성 있는 정책의지`를 들었다.
무디스는 `대규모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의 유입 등은 한국의 대외부채 감축과 외환위기 당시 100억달러 미만이던 외환보유액을 1천억달러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증가시키는데 크게 기여했다`고 밝혔다.
또 `외국 민간부문의 한국경제에 대한 지속적 참여는 시장중심의 구조조정노력과 맞물려 기업지배구조의 개선과 공공부문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한국정부는 중국의 급성장과 일본의 침체라는 대외적 도전에 효과적으로 대응함은 물론, 국내개혁을 지속시킬 의지가 있다`면서 `정책유연성을 견지하고 자유화를 계속 추진함에 따라 향후 예상되는 불리한 대외환경에도 불구하고 투자촉진과 수출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무디스는 그러나 `기업.금융구조조정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려는 정책의지의 구체적 실천이 향후 국가신용등급 상향조정의 핵심적 과제`라고 지적했다.
김미선 기자 u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