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은 물론 지방은행과 국책은행 등 모든 은행들이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대출시장에 경쟁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공무원연금관리공단과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은행들이 증가하고 있고 다른 은행들도 금리를 낮춰 공무원 고객을 잡기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공무원 대출의 경우 퇴직금의 절반, 최고 5000만원까지 대출이 가능한데 신용대출이라도 사실상 퇴직금이 담보로 설정돼 부실 발생의 가능성이 낮고 신분보장이 확실하다는 지적이다.
18일 금융계에 따르면 한빛은행에 이어 조흥은행과 기업은행도 공무원연금관리공단과 협약을 맺고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대출상품을 선보인다. 조흥은행은 전산개발 등 관련작업이 마무리되는 오는 11월부터 관련상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기업은행도 공무원연금 관리공단과의 업무조율이 마무리되는 대로 대출에 들어갈 계획이다.
현재까지는 국민, 주택, 하나, 한미은행과 농협이 공무원대출 시장에 진출해 있으며 이들 6개 은행의 대출잔액은 8월말 현재 3조4000억원을 넘고 있다.
한빛은행은 ‘청백리 대출’을 통해 공무원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특히 은행권에서는 가장 낮은 연 7%대의 금리를 적용함으로써 다른 은행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빛은행이 낮은 금리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내부규정을 바꿔 가계 신용대출에 대해서도 변동금리를 적용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이다.
한편 대구은행은 ‘공직자우대대출’을 통해 공무원에게 보증없이 최고 5000만원까지 대출해 주고 있다. 단 대구·경북지역내 공무원과 교직원이 대상이며 대출기간은 정년범위 내에서 최장 10년까지다.
주택은행도 연금관리기관 등으로부터 받은 추천서를 제출하는 공무원에 대해선 대출금리를 연 9.0%에서 연 8.5%로 0.5%포인트 인하한 바 있다.
서울은행의 경우 ‘직장인 신용대출’을 통해 500만원에서 2000만원까지 신용으로 대출하고 있는데 공무원도 중요한 목표 고객이다.
공무원 대출의 경우 대출에 부실이 발생하면 공무원연금 관리공단을 통해 대출원금을 회수할 수 있어 부실에 대한 우려가 없다. 대출을 이용하는 공무원의 입장에서도 일반 신용대출 금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연9.0%대 이하로 대출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관련시장의 경쟁은 한 층 치열해 질 전망이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