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 신뢰구축이 기능재편 ‘관건’
우리금융은 출범 이후 노조와의 갈등이 지속되고 자회사 은행간의 신경전이 끊이지 않았었다. 그리고 기능재편을 위한 구체적인 논의는 방향도 잡지 못한 채 내년 3월 이후만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9월에 접어들면서 IT 자회사 설립과 관련 노조가 전향적인 태도로 돌아섰고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태스크포스팀의 실무작업도 진행되고 있다.
연말을 목표로 진행중인 카드 자회사의 분사와 관련된 논의도 점차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자회사를 설립하더라도 수익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론과 현금서비스 업무는 자회사 은행이 담당케 함으로써 세금문제를 해결하고 누적손실분을 해결한 이후 업무를 자회사로 이양하는 방안이 구체화되고 있다.
그밖에 일반 업무비용과 자회사 분사에 따른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무보증사채를 발행하는 등 자회사 은행의 부담을 줄이는 계획도 이사회를 통해 의결됐다.
더욱이 우리금융 이사회가 A.T.커니사와 컨설팅 용역계약을 체결, 리크스관리 표준화 및 그룹 차원의 대전략을 수립했고 맥킨지사로부터 경영전반에 대한 컨설팅 의뢰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기능재편과 업무통합 작업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물론 우리금융의 경영전략은 자회사 은행의 경영진과 노조의 적극적인 동의와 참여를 전제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자회사 노조들이 일단 IT자회사 설립에 동의를 했지만 실무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업무혼선과 마찰이 계속 될 것은 우리금융도 인정하고 있다.
이와 관련 우리금융 관계자는 “상업은행과 한일은행이 아직까지도 합병의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4개의 은행이 하나의 지붕아래 모인다는 것은 얼마나 많은 희생을 감수해야 하는지 짐작케 한다”며 “하지만 공생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자회사 은행이 선택할 수 있는 최선책임을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결국 우리금융은 물론 자회사 은행들이 우리금융의 설립목적이 금융기관 구조조정의 완성에 있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 금융계의 중론이다.
기능재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직원들의 고용불안과 실제 기능재편이 이뤄질 경우 어느 정도의 효과를 발휘할 지에 대한 논의는 일단 조직 전반의 안정이 이뤄진 다음에 진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우리금융도 업무 추진 과정에서 자회사 은행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 상하의 위치가 아닌 동반자로서 자회사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도 금융계의 충고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