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행 등 시중은행들이 부동산담보대출 설정비 면제서비스를 재개하고 나섰다. 은행의 입장에서 설정비 면제는 수익성 악화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자금의 운용처가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설정비 면제를 통해서라도 대출에 대한 수요를 유도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 담당자들의 중론이다.
10일 금융계에 따르면 대부분 은행들이 잠시 중단했던 부동산담보대출에 따른 설정비면제 서비스를 다시 시행하고 있다.
주택담보 대출이 주도하는 부동산 담보대출 시장은 더 이상의 시장확대가 불가능한 가운데 점유율 경쟁만이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더욱이 보험과 외국 은행이 은행에 비해 낮은 금리를 적용하고 있는 가운데 설정비 면제를 통한 시장기회 창출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것이 금융계의 중론이다.
이와 관련 한 은행 관계자는 “시장연동형 담보대출금리가 현재 연 6.9%인 반면 은행권의 자금조달금리는 6%대”라며 “결국 설정비까지 면제해 주면 은행의 수익은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신용대출 등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영업은 자금규모가 작고, 기업대상 영업은 최근 경기 위축이 심화되면서 자금수요가 전무한 상황에서 그나마 영업이 이뤄지는 것은 부동산담보대출 시장외에는 없다는 것이 은행 담당자들의 지적이다.
한편 현재 은행들은 자금을 운용할 곳이 마땅치 않아 가계금융의 비중을 높이고 있지만 바람직한 방향은 아니라는 것이다. 가계금융 시장에 대한 영업력 집중은 은행의 입장에서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물론 선진국의 사례를 보면 가계금융의 확대는 은행의 발전단계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하지만 가계금융을 할 수 있는 인력과 시스템의 보강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결국 시장의 발전과 금융환경 변화에 따라 자연스럽게 가계금융으로 은행 영업의 중심이 이동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한 은행 관계자는 “가계금융은 기업금융에 비해 거래금액이 적은 반면 사후관리에 적지 않은 인력이 투입된다”며 “고객의 DB 구축과 전산, IT 등 시스템의 지원이 보강되지 않는다면 수익을 기대하기 어렵고 대규모 부실발생의 우려가 높다”고 말했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