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한국은행의 분석에 따르면 지난 99년도를 기준으로 할때 콜 금리를 1% 포인트 낮추면 1년후 GDP 성장률은 0.2% 포인트, 2년후에는 0.28% 포인트 더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잠재 성장률(4% 안팎)을 기준으로 할때 약 5-7% 가량 생산이 더 늘어 경제 성장률을 높이는 효과를 내는 것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한은은 이 모형의 기준 연도가 지난 99년으로 당시 콜 금리가 13-14% 수준이었던 만큼 현재 낮은 콜 금리(4.5%) 수준을 감안하면 1% 포인트를 인하했을때의 영향은 훨씬 더 커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은은 올들어 지금까지 콜 금리를 0.75% 포인트 낮췄다.
미국의 경우 연방기금금리가 1% 포인트 낮아졌을 때 GDP 성장률이 1년후 0.6%포인트, 2년후 1.7%포인트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미국은 올들어 지난 6월27일까지 연방기금금리가 2.5% 포인트 인하된만큼 내년 6월말까지 주가는 22% 상승하고 장기채권 수익률은 0.75% 포인트 하락하며 달러화는 5% 평가절하되는 효과를 낼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 관계자는 `콜 금리 인하는 단기간 경제 성장률을 높이지만 물가 상승 압력을 만드는 부작용도 있다`면서 `앞으로 공급 측면의 물가 상승 압력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콜금리 인하로 물가가 오르는 부작용이 생기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